<국보 제115호 전(傳) 문공유 청자다완>
국가지정 동산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
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국가지정문화재 중 국보․보물 동산문화재 257건(국보63건, 보물194건)의 지정명칭을 변경한다.(명칭 변경 예고 ’11.11.9)
문화재청은 그동안 지정명칭의 명명(命名) 방식이 일제강점기와 근․현대를 거치며 왜곡되고, 지정명칭과 관련된 통일된 기준이 없어 혼란스러웠던 것을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알 수 있도록 명칭부여 기준을 마련하여 지정명칭 일제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지정명칭 변경은 공예, 회화, 도자 등 분야별 관계전문가의 자문과 문화재위원회의 검토 등을 거쳐 진행되었고, 유물의 특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였으며, 종전에 붙여 쓰던 문화재 명칭 표기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변경했다.
일반회화는 기존의 작품명 앞에 ‘호(號)’를 표기하였던 것을 작가명 표기로 변경하였고, 작가명과 작품명 사이에 ‘필(筆)’자를 표기하기로 하였으며 도자기의 명명은 종류>기년명>시문기법>문양>기형 순으로 표기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하고,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기존 한자어 표기를 한글로 풀어 표기하되 지나친 한글 전용은 지양하기로 했다.
불교회화는 예고 기간(2011.11.8~12.7) 중 이견(異見)이 제기되어 불교회화 분야 자문회의 개최 후 문화재위원회에서 재심의할 예정이다.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동산물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 국가지정문화재 공예․과학기기류 지정명칭 41건 변경
○ 검토기준
․유물의 특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명칭으로 변경하되, 무기류는 지역 및 재질을 명칭에 적용하지 않음.
․소장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지역명을 맨 앞에 추가 표기할 경우, 지역명은 현재 행정구역명을 적용함.
연번 |
종별 |
지정 번호 |
분류 |
현재 문화재명 |
변경 문화재명 |
변경사항 |
1 |
국보 |
121 |
탈 |
하회탈및병산탈 (河回탈및屛山탈) |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安東 河回탈 및 屛山탈) |
ㅇ 지역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안동’ 추가 ㅇ 띄워 쓰기 |
2 |
국보 |
193 |
공예 |
유리제병및배(98호남분) (琉璃製甁및杯(98號南墳)) |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慶州 九十八號 南墳 琉璃甁 및 盞) |
ㅇ 지역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경주’ 추가 ㅇ 띄워 쓰기 |
3 |
국보 |
233 |
공예 |
영태이년명납석제호 (永泰二年銘蠟石製壺) |
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 (傳 山淸 石南巖寺址 蠟石舍利壺) |
ㅇ 출토지를 명확하게 위해 ‘석남암사지’ 추가 ㅇ 띄워 쓰기 |
4 |
국보 |
288 |
공예 |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 (百濟昌王銘石造舍利龕)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 |
ㅇ 출토지를 명확하게 위해 ‘능산리사지’ 추가 ㅇ 띄워 쓰기 |
5 |
보물 |
134 |
공예 |
경질 (經帙) |
순천 송광사 경질 (順天 松廣寺 經帙) |
ㅇ 소장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순천 송광사’를 추가 ㅇ 띄워 쓰기 |
6 |
보물 |
175 |
공예 |
송광사경패 (松廣寺經牌) |
순천 송광사 경패 (順天 松廣寺 經牌) |
ㅇ 지역을 명확히 하기 위해 ‘순천’ 추가 ㅇ 띄워 쓰기 |
7 |
보물 |
336 |
공예 |
정지장군환삼 (鄭地將軍環衫) |
정지장군 갑옷 (鄭地將軍 甲衣) |
ㅇ ‘환삼’용어를 쉽게 표기하기 위해 ‘갑옷’으로 표기함. 단, 한문표기는 甲衣로 함. ㅇ 정지인명은 널리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갑옷의 의미와 분리되기 따문에 ‘장군’을 그대로 씀. ㅇ 띄워 쓰기 |
8 |
보물 |
486 |
공예 |
은해사백흥암 극락전수미단 (銀海寺百興庵 極樂殿須彌壇) |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永川 銀海寺 百興庵 須彌壇) |
ㅇ 백흥암에 극락전이 한 곳뿐이기 때문에 ‘극락전’ 생략 ㅇ 띄워 쓰기 |
9 |
보물 |
559 |
공예 |
유문칠우 (有文漆盂) |
채화칠기 (彩畵漆器) |
ㅇ 유물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 |
10 |
보물 |
560 |
공예 |
진솔선예백장동인 (晋率善濊伯長銅印) |
청동 진솔선예백장 인장 (靑銅 晋率善濊伯長 印章) |
ㅇ 재질을 강조하기 위해 ‘동’을 ‘청동’으로 풀어씀. ㅇ 띄워 쓰기 |
11 |
보물 |
595 |
공예 |
초충도수병 (草蟲圖繡屛) |
자수 초충도 병풍 (刺繡 草蟲圖 屛風) |
ㅇ ‘병’은 ‘병풍’으로 통일 ㅇ ‘재질’을 앞쪽에 표기 ㅇ 띄워 쓰기 |
12 |
보물 |
653 |
공예 |
자수사계분경도 (刺繡四季盆景圖) |
자수 사계분경도 (刺繡 四季盆景圖) |
ㅇ 띄워 쓰기 |
13 |
보물 |
684 |
공예 |
용문사윤장대 (龍門寺輪藏臺) |
예천 용문사 윤장대 (醴泉 龍門寺 輪藏臺) |
ㅇ 지역명 표기 ㅇ 띄워 쓰기 |
14 |
보물 |
741 |
공예 |
민애대왕석탑사리호 (敏哀大王石塔舍利壺) |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傳 大邱 桐華寺 毘盧庵 三層石塔 蠟石舍利壺) |
ㅇ 발견된 석탑 명칭을 명확하게 함. ㅇ 띄워 쓰기 |
15 |
보물 |
747 |
공예 |
최문병의병장안장 (崔文炳義兵將鞍裝) |
최문병 의병장 안장 (崔文炳 義兵將 鞍裝) |
ㅇ 띄워 쓰기 |
16 |
보물 |
956 |
공예 |
태안사대바라 (泰安寺大鈸鑼)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谷城 泰安寺 靑銅 大鈸鑼) |
ㅇ 유물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청동대바라’로 표기 ㅇ 띄워 쓰기 |
17 |
보물 |
957 |
공예 |
탁영거문고 (濯纓거문고) |
김일손 거문고 (金馹孫 琴) |
ㅇ ‘김일손’이 ‘탁영’보다 대중적 ㅇ 띄워 쓰기 |
18 |
보물 |
865 |
서지 |
민간활자및인쇄용구 (民間活字및印刷用具) |
민간 목활자 및 인쇄용구 (民間 木活字 및 印刷用具)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목’을 추가 ㅇ 띄워 쓰기 |
19 |
보물 |
1413 |
공예 |
법주사철확 (法住寺鐵鑊) |
보은 법주사 철솥 (報恩 法住寺 鐵鑊) |
ㅇ ‘확’을 ‘솥’으로 한글 표기하되, 한자표기는 ‘鑊’으로 표기함. |
20 |
보물 |
599 |
무기 |
쌍자승자총통 (雙字勝字銃筒) |
쌍자총통 (雙字銃筒) |
ㅇ 명문을 근거로 명명 |
21 |
보물 |
647 |
무기 |
가정을묘명천자총통 (嘉靖乙卯銘天字銃筒) |
천자총통 (天字銃筒) |
ㅇ 중국연호 삭제 |
22 |
보물 |
648 |
무기 |
만력기묘명승자총통 (萬曆己卯銘勝字銃筒) |
승자총통 (勝字銃筒) |
ㅇ 중국연호 삭제 |
23 |
국보 |
228 |
천문 |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 |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 |
ㅇ 띄워 쓰기 |
24 |
국보 |
230 |
천문 |
혼천시계 (渾天時計) |
혼천의 및 혼천시계 (渾天儀 및 渾天時計) |
ㅇ 띄워 쓰기 |
25 |
보물 |
561 |
천문 |
금영측우기 (錦營測雨器) |
금영 측우기 (錦營 測雨器) |
ㅇ 띄워 쓰기 |
26 |
보물 |
842 |
천문 |
대구선화당측우대 (大邱宣化堂測雨臺) |
대구 선화당 측우대 (大邱 宣化堂 測雨臺) |
ㅇ 띄워 쓰기 |
27 |
보물 |
843 |
천문 |
관상감측우대 (觀象監測雨臺) |
관상감 측우대 (觀象監 測雨臺) |
ㅇ 띄워 쓰기 |
28 |
보물 |
844 |
천문 |
창덕궁측우대 (昌德宮測雨臺) |
창덕궁 측우대 (昌德宮 測雨臺) |
ㅇ 띄워 쓰기 |
29 |
보물 |
848 |
천문 |
신법천문도병풍 (新法天文圖屛風) |
보은 법주사 신법 천문도 병풍 (報恩 法住寺 新法 天文圖 屛風) |
ㅇ 지역명 및 소재지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보은 법주사’ 추가 |
30 |
보물 |
883 |
천문 |
놋쇠지구의 (놋쇠地球儀) |
지구의 (地球儀) |
ㅇ 재질을 명칭에 삽입하는 것은 부적절 |
31 |
보물 |
837 |
천문 |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複刻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 |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複刻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 |
ㅇ 띄워 쓰기 |
32 |
보물 |
839 |
천문 |
숭정구년명신법지평일구 (崇禎九年銘新法地平日晷) |
신법 지평일구 (新法 地平日晷) |
ㅇ 중국연호 삭제 |
33 |
보물 |
840 |
천문 |
신법지평일구 (新法地平日晷) |
신법 지평일구 (新法 地平日晷) |
ㅇ 띄워 쓰기 |
34 |
보물 |
852 |
천문 |
휴대용앙부일구 (携帶用仰釜日晷) |
휴대용 앙부일구 (携帶用 仰釜日晷) |
ㅇ 띄워 쓰기 |
35 |
보물 |
1652 |
천문 |
통영측우대 (統營測雨臺) |
통영 측우대 (統營 測雨臺) |
ㅇ 띄워 쓰기 |
36 |
보물 |
853 |
지도 |
수선전도목판 (首善全圖木板) |
수선전도 목판 (首善全圖 木板) |
ㅇ 띄워 쓰기 |
37 |
보물 |
882 |
지도 |
곤여전도목판 (坤輿全圖木板) |
곤여전도 목판 (坤輿全圖 木板) |
ㅇ 띄워 쓰기
|
38 |
보물 |
1373 |
지도 |
통도사 금동천문도 (通度寺 金銅天文圖) |
양산 통도사 금동천문도 (梁山 通度寺 金銅天文圖) |
ㅇ 지역명 명확하게 하기 위해 ‘양산’ 추가 |
39 |
보물 |
1535 |
지도 |
숙빈최씨소령원도 (淑嬪崔氏昭寧園圖) |
숙빈최씨 소령원도 (淑嬪崔氏 昭寧園圖) |
ㅇ 띄워 쓰기 |
40 |
보물 |
1598 |
지도 |
함경도·경기도·강원도지도 (咸鏡道·京畿道·江原道地圖) |
함경도·경기도·강원도 지도 (咸鏡道·京畿道·江原道 地圖) |
ㅇ 띄워 쓰기 |
41 |
보물 |
1601 |
지도 |
조선본천하여지도 (朝鮮本天下輿地圖) |
천하여지도 (天下輿地圖) |
ㅇ 의미상 ‘조선본’ 삭제 |
42 |
보물 |
416 |
청자 |
청자투각돈 (靑磁透刻墩) |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靑磁 透刻連環文 墩) |
ㅇ유물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고리문(連環)’을 추가 표기함. 용이한 이해를 위해 ‘墩’를 ‘의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43 |
보물 |
452 |
청자 |
청자귀형수주 (靑磁龜形水注) |
청자 구룡형 주전자 (靑磁 龜龍形 注子) |
ㅇ띄워 쓰기 |
44 |
보물 |
558 |
청자 |
청자상감운학모란국화문매병 (靑磁象嵌雲鶴牡丹菊花文梅甁) |
청자 상감운학모란국화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牡丹菊花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45 |
보물 |
646 |
청자 |
청자상감상약국명합 (靑磁象嵌尙藥局銘盒) |
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靑磁 象嵌‘尙藥局’銘 陰刻雲龍文 盒) |
ㅇ띄워 쓰기 |
46 |
보물 |
789 |
청자 |
청자조각쌍사자두침 (靑磁彫刻雙獅子頭枕) |
청자 쌍사자형 베개 (靑磁 雙獅子形 枕)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枕’를 ‘베개’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47 |
보물 |
903 |
청자 |
청자상감매조죽문매병 (靑磁象嵌梅鳥竹文梅甁)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靑磁 象嵌梅鳥竹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48 |
보물 |
1022 |
청자 |
청자상감동채연당초용문병 (靑磁象嵌銅彩蓮唐草龍文甁) |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靑磁 象嵌銅彩蓮花唐草龍文 甁) |
ㅇ띄워 쓰기 |
49 |
보물 |
1023 |
청자 |
청자음각운룡문"상약국"명합 (靑磁陰刻雲龍文"尙藥局"銘盒) |
청자 음각‘상약국’명 운룡문 합 (靑磁 陰刻‘尙藥局’銘 雲龍文 盒) |
ㅇ띄워 쓰기 |
50 |
보물 |
1024 |
청자 |
청자양각연당초·상감운학문대접 (靑磁陰刻蓮唐草·象嵌菊花折枝文大楪) |
청자 양각연화당초 상감운학문 완 (靑磁 陰刻蓮花唐草 象嵌雲鶴文 碗) |
ㅇ띄워 쓰기 |
51 |
보물 |
1025 |
청자 |
청자도형연적 (靑磁桃形硯滴) |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 (靑磁 桃形 硯滴)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桃形’를 ‘복숭아모양’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52 |
보물 |
1026 |
청자 |
청자양인각도철문방형향로 (靑磁陽印刻饕餮文方形香爐) |
청자 양각도철문 방형 향로 (靑磁 陽刻饕餮文 方形 香爐) |
ㅇ띄워 쓰기 |
53 |
보물 |
1027 |
청자 |
청자구룡형삼족향로 (靑磁龜龍形三足香爐) |
청자 구룡형뚜껑 향로 (靑磁 龜龍形蓋 香爐) |
ㅇ유물을 명확히 하기 위해 ‘뚜껑’을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54 |
보물 |
1028 |
청자 |
청자반양각연당초문호 (靑磁半陽刻蓮唐草文壺)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항아리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55 |
보물 |
1029 |
청자 |
청자상감모란문주자 (靑磁象嵌牡丹文注子) |
청자 상감모란문 주전자 (靑磁 象嵌牡丹文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注子’를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56 |
보물 |
1030 |
청자 |
청자상감운학문화분 (靑磁象嵌雲鶴文花盆) |
청자 상감운학문 화분 (靑磁 象嵌雲鶴文 花盆) |
ㅇ띄워 쓰기 |
57 |
보물 |
1031 |
청자 |
청자양인각파어·포련문접시 (靑磁陽印刻波漁·浦蓮文楪匙) |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靑磁 陽刻蓮池魚文 花形 楪匙) |
ㅇ띄워 쓰기 |
58 |
보물 |
1032 |
청자 |
청자음각연당초·상감국화절지문대접 (靑磁陰刻蓮唐草·象嵌菊花折枝文大楪) |
청자 음각연화당초 상감국화문 완 (靑磁 陰刻蓮花唐草 象嵌菊花文 碗) |
ㅇ띄워 쓰기 |
59 |
보물 |
1033 |
청자 |
청자상감운학국문표형주자·승반 (靑磁象嵌雲鶴菊文瓢形注子·承盤) |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靑磁 象嵌雲鶴菊花文 瓢形 注子 및 承盤)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瓢形注子’를 ‘표주박모양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60 |
보물 |
1034 |
청자 |
청자상감연판문매병 (靑磁象嵌蓮瓣文梅甁) |
청자 상감연판문 매명 (靑磁 象嵌蓮瓣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61 |
보물 |
1035 |
청자 |
청자음각여의운문병 (靑磁陰刻如意雲文甁) |
청자 음각운문 병 (靑磁 陰刻雲文 甁) |
ㅇ띄워 쓰기 |
62 |
보물 |
1036 |
청자 |
청자상감앵무문표형주자 (靑磁象嵌鸚鵡文瓢形注子) |
청자 상감앵무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鸚鵡文 瓢形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瓢形注子’를 ‘표주박모양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63 |
보물 |
1037 |
청자 |
청자음각국당초문대접 (靑磁陰刻菊唐草文大楪) |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靑磁 陰刻菊花唐草文 盌) |
ㅇ띄워 쓰기 |
64 |
보물 |
1038 |
청자 |
청자철채양각연판문소병 (靑磁鐵彩陽刻蓮瓣文小甁) |
청자 철채양각연판문 병 (靑磁 鐵彩陽刻蓮瓣文 甁) |
ㅇ띄워 쓰기 |
65 |
보물 |
1039 |
청자 |
청자상감모란절지문바릿대 (靑磁象嵌牡丹折枝文바릿대) |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靑磁 象嵌牡丹文 鉢盂 및 楪匙)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바릿대’를 ‘발우’로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66 |
보물 |
1071 |
청자 |
조선청자호 (朝鮮靑磁壺) |
청자 유개항아리 (靑磁 有蓋壺) |
ㅇ유물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유개 항아리’로 변경함. |
67 |
보물 |
1168 |
청자 |
청자상감매죽학문매병 (靑磁象嵌梅竹鶴文梅甁)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靑磁 象嵌梅竹鶴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68 |
보물 |
1228 |
청자 |
청자음각반룡문주자 (靑磁蟠龍文注子) |
청자 음각용문 주전자 (靑磁 陰刻龍文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注子’를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69 |
보물 |
1382 |
청자 |
청자상감국모란문[신축]명벼루 (靑磁象嵌菊牡丹文[辛丑]銘硯) |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 (靑磁 象嵌‘辛丑’銘 菊花牡丹文 硯) |
ㅇ띄워 쓰기 |
70 |
보물 |
1383 |
청자 |
청자철화초충조문매병 (靑磁鐵畵草蟲鳥文梅甁) |
청자 철화초충조문 매병 (靑磁 鐵畵草蟲鳥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71 |
보물 |
1384 |
청자 |
청자상감유로매죽문편병 (靑磁象嵌柳鷺梅竹文扁甁) |
청자 상감유로매죽문 편병 (靑磁 象嵌柳鷺梅竹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72 |
보물 |
1385 |
청자 |
청자양각운룡문매병 (靑磁陽刻雲龍文梅甁) |
청자 양각운룡문 매병 (靑磁 陽刻雲龍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73 |
보물 |
1386 |
청자 |
청자상감어룡문매병 (靑磁象嵌魚龍文梅甁) |
청자 상감어룡문 매병 (靑磁 象嵌魚龍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74 |
보물 |
1389 |
청자 |
청자상감매죽유문[장진주]명매병 (靑磁象嵌梅竹柳文[將進酒]銘梅甁) |
청자 상감‘장진주’시명 매죽양류문 매병 (靑磁 象嵌‘將進酒’詩銘 梅竹楊柳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75 |
보물 |
1398 |
청자 |
청자상감압형주자 (靑磁象嵌鴨形注子) |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鴨形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鴨形注子’를 ‘오리모양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76 |
보물 |
1399 |
청자 |
청자퇴화표형주자 (靑磁堆化瓢形注子) |
청자 퇴화선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堆花線文 瓢形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瓢形注子’를 ‘표주박모양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77 |
보물 |
1420 |
청자 |
청자상감화류문주자 및 승반 (靑磁象嵌花柳文注子 및 承盤) |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 (靑磁 象嵌牡丹楊柳文 注子 및 承盤)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注子’를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78 |
보물 |
1421 |
청자 |
청자퇴화화문주자 및 승반 (靑磁堆花花文注子 및 承盤) |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 (靑磁 堆花花文 注子 및 承盤)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注子’를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79 |
보물 |
1447 |
청자 |
청자상감화조문도판 (靑磁象嵌花鳥文陶板) |
청자 상감화조문 도판 (靑磁 象嵌花鳥文 陶板) |
ㅇ띄워 쓰기 |
80 |
보물 |
1449 |
청자 |
청자기린연적 (靑磁麒麟硯滴) |
청자 기린모양 연적 (靑磁 麒麟形 硯滴) |
ㅇ띄워 쓰기 |
81 |
보물 |
1451 |
청자 |
청자상감운학국화문병형주자 (靑磁象嵌雲鶴菊花文甁形注子) |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靑磁 象嵌雲鶴菊花文 甁形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注子’를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82 |
보물 |
1452 |
청자 |
청자상감연화유문'덕천'명 매병 (靑磁象嵌蓮花柳文'德泉'銘 梅甁) |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靑磁 象嵌'德泉'銘 蓮花楊柳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83 |
보물 |
1453 |
청자 |
청자유개주자 (靑磁有蓋注子) |
청자 주전자 (靑磁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注子’를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84 |
보물 |
1454 |
청자 |
청자음각연화문팔각장경병 (靑磁陰刻蓮花文八角長頸甁) |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靑磁 陰刻蓮花文 八角長頸甁) |
ㅇ띄워 쓰기 |
85 |
보물 |
1540 |
청자 |
청자표형주자 (靑磁瓢形注子) |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瓢形 注子)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注子’를 ‘주전자’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86 |
보물 |
1573 |
청자 |
청자 양각 연판문 접시 (靑磁陽刻蓮瓣文楪匙) |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 (靑磁 陽刻蓮瓣文 楪匙) |
ㅇ띄워 쓰기 |
87 |
국보 |
93 |
백자 |
백자철화포도문호 (白磁鐵畵葡萄文壺) |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猿文 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88 |
국보 |
107 |
백자 |
백자철화포도문호 (白磁鐵畵蒲萄文壺) |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文 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89 |
국보 |
166 |
백자 |
백자철화매죽문대호 (白磁鐵畵梅竹文大壺) |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 (白磁 鐵畵梅竹文 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90 |
국보 |
168 |
백자 |
백자진사매국문병 (白磁辰砂梅菊文甁) |
백자 동화매국문 병 (白磁 銅畵梅菊文 甁) |
ㅇ띄워 쓰기 |
91 |
국보 |
175 |
백자 |
백자상감연당초문대접 (白磁象嵌蓮唐草文大楪) |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白磁 象嵌蓮花唐草文 大楪) |
ㅇ띄워 쓰기 |
92 |
국보 |
261 |
백자 |
백자호 (白磁壺) |
백자 유개항아리 (白磁 有蓋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유개 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93 |
국보 |
262 |
백자 |
백자대호 (白磁大壺)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달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94 |
국보 |
281 |
백자 |
백자주자 (白磁注子) |
백자 병형 주전자 (白磁 甁形 注子)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병형 주전자’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95 |
국보 |
286 |
백자 |
백자발 (白磁鉢) |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白磁 ‘天’‘地’‘玄’‘黃’銘 鉢)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천’ ‘지’ ‘현’ ‘황‘명을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96 |
국보 |
309 |
백자 |
백자대호 (白磁大壺)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달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97 |
국보 |
310 |
백자 |
백자대호 (白磁大壺)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달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98 |
보물 |
238 |
백자 |
백자박산향로 (白磁博山香爐) |
백자 박산형뚜껑 향로 (白磁 博山形蓋 香爐)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뚜껑’을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99 |
보물 |
240 |
백자 |
백자투조모란문호 (白磁透彫牡丹文壺) |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모란당초문’을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00 |
보물 |
345 |
백자 |
백자상감모란문매병 (白磁象嵌牡丹文梅甁) |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 (白磁 象嵌牡丹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101 |
보물 |
645 |
백자 |
백자철화운용문호 (白磁鐵畵雲龍文壺) |
백자 철화운룡문 항아리 (白磁 鐵畵雲龍文 立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02 |
보물 |
659 |
백자 |
백자청화매죽문병 (白磁靑華梅竹文甁) |
백자 청화매조죽문 병 (白磁 靑畵梅鳥竹文 甁) |
ㅇ띄워 쓰기 |
103 |
보물 |
788 |
백자 |
청화백자군어문호 (靑華白磁群魚文壺) |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白磁 靑畵鯉魚文 立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04 |
보물 |
791 |
백자 |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 (白磁象嵌牡丹葉文扁甁) |
백자 상감모란잎문 편병 (白磁 象嵌牡丹葉文 扁甁)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葉文’를 ‘잎문’으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05 |
보물 |
806 |
백자 |
백자반합 (白磁飯盒) |
백자 반합 (白磁 飯盒) |
ㅇ띄워 쓰기 |
106 |
보물 |
807 |
백자 |
백자상감모란문병 (白磁象嵌牡丹文甁) |
백자 상감모란문 병 (白磁 象嵌牡丹文 甁) |
ㅇ띄워 쓰기 |
107 |
보물 |
1054 |
백자 |
백자병 (白磁甁) |
백자 병 (白磁 甁) |
ㅇ띄워 쓰기 |
108 |
보물 |
1055 |
백자 |
백자태항<내·외호> (白磁胎缸<內·外壺>) |
백자 태항아리 (白磁 胎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태항아리’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09 |
보물 |
1060 |
백자 |
백자철화승문병 (白磁鐵畵繩文甁) |
백자 철화끈무늬 병 (白磁 鐵畵垂紐文 甁)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繩文’를 ‘끈무늬(垂紐文)’으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10 |
보물 |
1061 |
백자 |
백자철채각배 (白磁鐵彩角杯) |
백자 철채 뿔잔 (白磁 鐵彩 角杯)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角杯’를 ‘뿔잔’으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11 |
보물 |
1065 |
백자 |
백자태호<내·외호> 및 태지석 (白磁胎壺<內·外壺>및胎誌石) |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白磁 胎壺 및 胎誌石)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胎壺’를 ‘태항아리’으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12 |
보물 |
1169 |
백자 |
백자태항<내·외>과 태지석 (白磁胎缸<內·外>과 胎誌石) |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白磁 胎壺 및 胎誌石)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胎缸’를 ‘태항아리’으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13 |
보물 |
1230 |
백자 |
백자상감연·당초문병 (白磁象嵌蓮·唐草文甁) |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병 (白磁 象嵌蓮花唐草文 甁) |
ㅇ띄워 쓰기 |
114 |
보물 |
1231 |
백자 |
백자철화운죽문호 (白磁鐵畵雲竹文壺) |
백자 철화운죽문 항아리 (白磁 鐵畵雲竹文 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15 |
보물 |
1329 |
백자 |
백자청화소상팔경문팔각연적 (白磁靑畵瀟湘八景文八角硯適) |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 (白磁 靑畵瀟湘八景文 八角硯適) |
ㅇ띄워 쓰기 |
116 |
보물 |
1390 |
백자 |
백자청화동정추월문호 (白磁靑畵洞庭秋月文壺) |
백자 청화동정추월문 항아리 (白磁 靑畵洞庭秋月文 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17 |
보물 |
1391 |
백자 |
백자투각상감모란문병 (白磁透刻象嵌牡丹文甁) |
백자 상감투각모란문 병 (白磁 象嵌透刻牡丹文 甁) |
ㅇ띄워 쓰기 |
118 |
보물 |
1425 |
백자 |
백자철화매죽문호 (白磁鐵畵梅竹文壺) |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 (白磁 鐵畵梅竹文 立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19 |
보물 |
1437 |
백자 |
백자대호 (白磁大壺)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달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20 |
보물 |
1438 |
백자 |
백자대호 (白磁大壺)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달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21 |
보물 |
1439 |
백자 |
백자대호 (白磁大壺)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달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22 |
보물 |
1441 |
백자 |
백자대호 (白磁大壺) |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달항아리’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23 |
보물 |
1448 |
백자 |
백자청화보상당초문호 (白磁靑畵寶相唐草文壺) |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寶相唐草文 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24 |
보물 |
1457 |
백자 |
백자사각제기 (白磁四角祭器) |
백자 사각발형 제기 (白磁 四角鉢形 祭器)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발형’을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25 |
보물 |
1458 |
백자 |
백자청화철화접문시명팔각연적 (白磁靑畵鐵畵蝶文詩銘八角硯滴) |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 (白磁 靑畵鐵畵‘詩’銘蝶文 八角硯滴)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蝶文’를 ‘나비문’으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26 |
국보 |
177 |
분청사기 |
분청사기인화문태호(내외호) (粉靑沙器印花文胎壺(內外壺)) |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粉靑沙器 印花菊花文 胎壺) |
ㅇ띄워 쓰기 |
127 |
국보 |
178 |
분청사기 |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 (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粉靑沙器 陰刻魚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28 |
국보 |
179 |
분청사기 |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 (粉靑沙器剝地蓮魚文扁甁) |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粉靑沙器 剝地蓮花魚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29 |
보물 |
239 |
분청사기 |
상감초화문병 (象嵌草花文甁)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文 梅甁) |
ㅇ종류를 명확히 하기 위해 ‘분청사기’를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30 |
국보 |
259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용문호 (粉靑沙器象嵌龍文壺) |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粉靑沙器 象嵌雲龍文 立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31 |
국보 |
260 |
분청사기 |
분청사기박지모란문철채자라병 (粉靑沙器剝地牡丹文鐵彩자라甁) |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粉靑沙器 剝地鐵彩牡丹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32 |
보물 |
268 |
분청사기 |
분청사기연화문편호 (粉靑沙器蓮花文扁壺) |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 (粉靑沙器 象嵌蓮花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33 |
보물 |
287 |
분청사기 |
분청박지화문병 (粉靑剝地花文甁) |
분청사기 박지철채화문 병 (粉靑沙器 剝地鐵彩花文 甁) |
ㅇ띄워 쓰기 |
134 |
보물 |
347 |
분청사기 |
청자상감유어문매병 (靑磁象嵌游魚文梅甁) |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 (粉靑沙器 象嵌魚文 梅甁) |
ㅇ띄워 쓰기 |
135 |
보물 |
348 |
분청사기 |
분청사기모란문반합 (粉靑沙器牡丹文飯盒)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粉靑沙器 象嵌牡丹文 飯盒) |
ㅇ띄워 쓰기 |
136 |
보물 |
577 |
분청사기 |
정통오년명분청사기상감어문반 (正統五年銘粉靑沙器象嵌魚文盤) |
분청사기 상감‘정통5년’명 어문 반형 묘지 (粉靑沙器 象嵌‘正統五年’銘 魚文 盤形 墓誌) |
ㅇ띄워 쓰기 |
137 |
보물 |
787 |
분청사기 |
분청사기철화어문호 (粉靑沙器鐵畵魚文壺) |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 (粉靑沙器 鐵畵魚文 立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38 |
보물 |
1062 |
분청사기 |
분청사기철화당초문장군 (粉靑沙器鐵畵唐草文장군) |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粉靑沙器 鐵畵唐草文 獐本) |
ㅇ띄워 쓰기 |
139 |
보물 |
1067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연당초문병 (粉靑沙器象嵌蓮唐草文甁) |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粉靑沙器 象嵌蓮花唐草文 甁) |
ㅇ띄워 쓰기 |
140 |
보물 |
1068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모란당초문호 (粉靑沙器象嵌牡丹唐草文壺) |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有蓋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유개’를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41 |
보물 |
1069 |
분청사기 |
분청사기조화수조문편병 (粉靑沙器彫花樹鳥文扁甁) |
분청사기 음각수조문 편병 (粉靑沙器 陰刻樹鳥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42 |
보물 |
1070 |
분청사기 |
분청사기조화박지모란문장군 (粉靑沙器彫花剝地牡丹文장군) |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粉靑沙器 剝地牡丹文 獐本) |
ㅇ띄워 쓰기 |
143 |
보물 |
1229 |
분청사기 |
분청사기조화절지문편병 (粉靑沙器象嵌牡丹柳文甁) |
분청사기 음각연화문 편병 (粉靑沙器 陰刻蓮花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44 |
보물 |
1387 |
분청사기 |
분청사기철화모란문장군 (粉靑沙器鐵畵牡丹文장군) |
분청사기 철화모란문 장군 (粉靑沙器 鐵畵牡丹文 獐本) |
ㅇ띄워 쓰기 |
145 |
보물 |
1388 |
분청사기 |
분청사기박지연화문편병 (粉靑沙器剝地蓮花文扁甁) |
분청사기 박지연화문 편병 (粉靑沙器 剝地蓮花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46 |
보물 |
1400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모란당초문장군 (粉靑沙器象嵌牡丹唐草文장군) |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獐本) |
ㅇ띄워 쓰기 |
147 |
보물 |
1422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모란문호 (粉靑沙器象嵌牡丹文壺)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文 立壺) |
ㅇ용이한 이해를 위해 ‘壺’를 ‘항아리’로 풀어 표기 함. ㅇ띄워 쓰기 |
148 |
보물 |
1423 |
분청사기 |
분청사기인화문장군 (粉靑沙器印花文장군) |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 (粉靑沙器 印花點文 獐本) |
ㅇ띄워 쓰기 |
149 |
보물 |
1428 |
분청사기 |
정통십삼년'명 분청사기상감묘지 외 인화분청사기 일괄 (正統十三年銘 粉靑沙器象嵌墓誌 外 印花粉靑沙器 一括) |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 (粉靑沙器 象嵌‘正統十三年’銘 墓誌 및 粉靑沙器一括) |
ㅇ띄워 쓰기 |
150 |
보물 |
1450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인화문사각편병 (粉靑沙器象嵌四角墓誌 및 粉靑沙器印花文四角扁甁) |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 (粉靑沙器 象嵌四角墓誌 및 粉靑沙器 印花文 四角扁甁) |
ㅇ띄워 쓰기 |
151 |
보물 |
1455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파어문병 (粉靑沙器象嵌波魚文甁) |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粉靑沙器 象嵌波濤魚文 甁)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파도어문’으로 변경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52 |
보물 |
1456 |
분청사기 |
분청사기박지태극문편병 (粉靑沙器剝地太極文扁甁) |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粉靑沙器 剝地太極文 扁甁) |
ㅇ띄워 쓰기 |
153 |
보물 |
1541 |
분청사기 |
분청사기상감모란유문병 (粉靑沙器象嵌牡丹柳文甁) |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 |
ㅇ띄워 쓰기 |
154 |
국보 |
170 |
청화백자 |
청화백자매조죽문호 (靑華白磁梅鳥竹文壺) |
백자 청화매조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鳥竹文 有蓋壺) |
ㅇ띄워 쓰기 |
155 |
국보 |
176 |
청화백자 |
청화백자홍치이년명송죽문호 (靑華白磁<弘治銘>松竹文壺) |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白磁 靑畵‘弘治二年’銘 松竹文 立壺) |
ㅇ띄워 쓰기 |
156 |
국보 |
219 |
청화백자 |
청화백자매죽문호 (靑華白磁梅竹文壺) |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立壺) |
ㅇ띄워 쓰기 |
157 |
국보 |
222 |
청화백자 |
청화백자매죽문호 (靑華白磁梅竹文壺) |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 |
ㅇ유물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유개’를 추가 표기함. ㅇ띄워 쓰기 |
158 |
국보 |
258 |
청화백자 |
청화백자죽문각병 (靑華白磁竹文角甁) |
백자 청화죽문 각병 (白磁 靑畵竹文 角甁) |
ㅇ띄워 쓰기 |
159 |
국보 |
263 |
청화백자 |
청화백자산수화조문대호 (靑華白磁山水花鳥文大壺) |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白磁 靑畵山水花鳥文 立壺) |
ㅇ띄워 쓰기 |
160 |
국보 |
294 |
청화백자 |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 (靑華白磁鐵砂辰砂菊花文甁) |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 |
ㅇ띄워 쓰기 |
161 |
보물 |
644 |
청화백자 |
청화백자송죽인물문호 (靑華白磁松竹人物文壺) |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白磁 靑畵松竹人物文 立壺) |
ㅇ띄워 쓰기 |
162 |
보물 |
785 |
청화백자 |
청화백자운룡문병 (靑華白磁雲龍文甁) |
백자 청화운룡문 병 (白磁 靑畵雲龍文 甁) |
ㅇ띄워 쓰기 |
163 |
보물 |
786 |
청화백자 |
청화백자운룡문병 (靑華白磁雲龍文甁) |
백자 청화운룡문 병 (白磁 靑畵雲龍文 甁) |
ㅇ띄워 쓰기 |
164 |
보물 |
1056 |
청화백자 |
청화백자철화삼산뇌문산뢰 (靑華白磁鐵畵三山雷文山罍) |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白磁 靑畵鐵畵三山雷文 山罍) |
ㅇ띄워 쓰기 |
165 |
보물 |
1057 |
청화백자 |
청화백자<망우대>명국충문전접시 (靑華白磁<忘憂臺>銘菊蟲文전楪匙) |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白磁 靑畵‘忘憂臺‘銘 草蟲文 楪匙) |
ㅇ띄워 쓰기 |
166 |
보물 |
1058 |
청화백자 |
청화백자초화문표형병 (靑華白磁草花文瓢形甁) |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白磁 靑畵七寶蘭草文 甁) |
ㅇ띄워 쓰기 |
167 |
보물 |
1059 |
청화백자 |
청화백자난초문지통 (靑華白磁蘭草文紙筒) |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白磁 靑畵草花文 筆筒) |
ㅇ띄워 쓰기 |
168 |
보물 |
1063 |
청화백자 |
청화백자매월십장생문팔각접시 (靑華白磁梅月十長生文八角楪匙) |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白磁 靑畵梅月十長生文 八角楪匙) |
ㅇ띄워 쓰기 |
169 |
보물 |
1064 |
청화백자 |
청화백자운룡문호 (靑華白磁雲龍文壺) |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白磁 靑畵雲龍文 立壺) |
ㅇ띄워 쓰기 |
170 |
보물 |
1066 |
청화백자 |
청화백자화조문팔각통형병 (靑華白磁花鳥文八角筒形甁) |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白磁 靑畵花鳥文 八角筒形 甁) |
ㅇ띄워 쓰기 |
□ 국가지정문화재 일괄류 지정명칭 14건 변경
○ 검토 기준
․ “~일괄”이라고 표기하여 유물의 성격을 분명히 함.
연번 |
종별 |
지정번호 |
현재 문화재명 |
변경 문화재명 |
변경사항 |
1 |
보물 |
326 |
이충무공유물 (李忠武公遺物) |
이순신 유물 일괄 (李舜臣 遺物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하고 충무공을 이름으로 변경함. ㅇ 띄워 쓰기 |
2 |
보물 |
343 |
문양전 (文樣塼) |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 (扶餘 外里 文樣塼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하고 출토지를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3 |
보물 |
440 |
통영충렬사팔사품 (統營忠烈祠八賜品) |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統營 忠烈祠 八賜品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4 |
보물 |
451 |
안동태사묘삼공신유물 (安東太師廟三功臣遺物)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5 |
보물 |
481 |
해남윤씨가전고화첩 (海南尹氏家傳古畵帖) |
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 (海南 尹氏 家傳 古畵帖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6 |
보물 |
671 |
곽망우당유물 (郭忘憂堂遺物) |
곽재우 유물 일괄 (郭再祐 遺物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하고 망우당을 이름으로 변경함. ㅇ 띄워 쓰기 |
7 |
보물 |
672 |
김덕원묘출토의복 (金德遠墓出土衣服) |
김덕원묘 출토 의복 일괄 (金德遠墓 出土 衣服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8 |
보물 |
718 |
진주이씨고림군파종중문서 (全州李氏高林君派宗中文書)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9 |
보물 |
724 |
성도도씨종중문서 (星州都氏宗中文書) |
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 (星州都氏 宗中 文書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10 |
보물 |
725 |
남원양씨종중문서 (南原楊氏宗中文書) |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南原楊氏 宗中 文書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11 |
보물 |
727 |
남양전씨종중문서 (南陽田氏宗中文書) |
남양전씨 종중 문서 일괄 (南陽田氏 宗中 文書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12 |
보물 |
900 |
부안김씨종중고문서 (扶安金氏宗中古文書) |
부안김씨 종중 고문서 일괄 (扶安金氏 宗中 古文書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13 |
보물 |
955 |
선암사삼층석탑내발견유물 (仙巖寺三層石塔內發見遺物) |
순천 선암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順天 仙巖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지역명을 추가하고, 발견유물을 사리장엄구로 변경 표기함. ㅇ 띄워 쓰기 |
14 |
보물 |
1003 |
조정임진란기록 (趙靖壬辰亂記錄) |
조정 임진란기록 일괄 (趙靖 壬辰亂記錄 一括) |
ㅇ 유물의 성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괄’을 추가 표기함. ㅇ 띄워 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