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들으며 보시지요>
![대금굴 모습](http://www.k-heritage.tv/jnrepo/upload/editor/201609/dd61b3f85523457a8643c558431c2d77_1474947521340.png)
강원도 삼척시 대이리의 수려한 산세에 아름다운 계곡이 있습니다. 이 계곡에는 예부터 사계절 풍부한 물이 흘렀다지요. 물의 발원을 찾다가 거대한 황금 굴 대금굴(大金窟)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지난 2000년에 발견된 이 대금굴은 총길이 1,610m로 개발 4년, 시설물 설치 3년 총 7년의 준비기간 끝에 2007년 6월에 일반인에게 개방됐습니다.
![계곡 물 흐르는 모습](http://www.k-heritage.tv/jnrepo/upload/editor/201609/abf184136c8a479b8fa004150278950c_1474947526864.png)
대금굴이 있는 지역은 약 5억 3천만 년 전 캠부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에 이르는 하부 고생대의 퇴적암류인 조선누층군의 풍촌층과 대기층의 암석이 분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름만 들어도 저 머나먼 고생대에 있을 것만 같은 암석이지 않나요? 뿐만 아니라 열대 심해의 바다 속에 퇴적된 산호초 등의 지형도 지각변동으로 인하여 현재의 위치에 와있다고 하는데요. 수억 년 전부터 이어진 침식 동굴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토록 지형 역사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제 178호로 지정됐지요.
![동굴로 이어지는 모노레일의 모습](http://www.k-heritage.tv/jnrepo/upload/editor/201609/6f7ae9b41c5148ab8d1882446f95e3e2_1474947533610.png)
자 그럼 이제 모노레일을 타고 대금굴 탐험을 시작해 볼까요? 대금굴의 초입에서 부터 부서질 듯 떨어지는 물소리가 먼저 청량감 있는 모습으로 반깁니다. 높이 8m의 비룡폭포에서 흐르는 물줄기입니다. 여기에 더해 사방 커튼처럼 드리운 들쭉날쭉 종유석은 동굴의 신비감과 호기심을 자아내기 충분합니다.
![대금굴 안의 모습,종유석](http://www.k-heritage.tv/jnrepo/upload/editor/201609/793d04aba7a04aadb97cfbec517b353e_1474947539376.png)
대금굴은 이름그대로 반짝거리는 황금색의 화려한 종유석과 석순, 석주 등 신비롭고 아름다운 동굴생성물들로 가득하답니다. 특히 지하에는 근원지를 알 수 없는 많은 양의 동굴수가 흐르고 있어 여러 개의 크고 작은 폭포와 동굴호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면 연장 60m와 30m 크기에 수심 8~9m의 호수가 나옵니다. 여기가 대금굴의 끝인데요 제 멋대로 삐져나온 돌들의 자유분방한 모습하며, 시원하게 흐르는 지하 물줄기 소리는 마치 다른 세계에 와있는 듯한 느낌을 들게 합니다.
![대금굴 안의 다른 모습, 기형적 종유석 모습](http://www.k-heritage.tv/jnrepo/upload/editor/201609/d50e6562237f42c99c1c807f53e19939_1474947555423.png)
천연의 숨을 쉬고 있는 동굴은 외부에 개방되는 순간부터 훼손이 따릅니다.희귀석순이나 종유석을 멋대로 잘라가거나 가져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고, 외부로부터 밀려오는 공기로 인한 온도, 습도의 변화가 동굴생성물의 색을 변하게 한다는데요.
![대금굴 안의 다른 모습, 기형적 종유석 모습](http://www.k-heritage.tv/jnrepo/upload/editor/201609/f77bf1a478ca4b9e8a5f88a72213eb00_1474947568427.png)
대금굴은 사람들로부터의 오염과 훼손을 최소화하기위해 안내원의 인솔 하에서만 탐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루 관람인원을 700명으로 제한하고 있고 관람객들의 사진촬영도 엄격히 금합니다. 동굴내부의 시설에도 동굴생성물 앞에 푯말을 붙이지 않고 조명도 최소화 하는 등 가장 자연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하네요. 대금굴은 이 때문에 수억 년 모습 그대로 살아 있는 동굴, ‘동굴교과서’라 불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반드시 지켜나가야 할 별 백 개짜리 천혜의 자연유산인거죠!!
- 위치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환선로 800 (대이리 189번지)
- 연락처
- 033-541-7600
- 주별 볼거리
- 환선굴, 죽서루, 영경묘, 준경묘
- 관련 홈페이지
- http://samcheok.mainticket.co.kr
- 가는 길
- 자가 이용 : 강릉나들목->동해고속도로->동해->7번국도->단봉삼거리->38번국도->신기->환선굴 매표소->대금굴 가는 모노레일 이용
- 대중교통 :삼척터미널에서 하루 6회 운행되는 대이리행 농어촌좌석버스 이용해 환선굴 도착->대금굴로 가는 모노레일 이용
블로그 대문/ 보물「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국보로 승격
문화재위원회(건축‧동산분과)는 용문사 대장전(건축물)과 윤장대(동산)의 건립시기, 의미,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두 보물이 일체성을 갖는 문화재이며, 역사‧예술적 가치가 뛰어나 한 건의 통합한 국보로 승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예천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대 두운선사(杜雲禪師)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초암을 짓고 정진한데서부터 비롯되었으며, 후삼국
쟁탈기에 왕건과 관계를 맺으며 사찰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고려 명종 3년(1173년) 국난(김보당의 난) 극복을 위해 조응대선사(祖膺大禪師)가 발원하고 조성한
것으로, 고대 건축물로는 매우 드물게 발원자와 건립시기, 건립목적이 분명하게(重修龍門寺記/1185년) 드러나 있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초창 이래
여러 차례 수리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최근 동(오른쪽) 윤장대에서 확인된 천계오년(天啓五年, 1625) 묵서명과 건축의 양식으로 미뤄볼 때
17세기에 수리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
* 동‧서 방위 : 건물을 바라보는 사람 기준
대장전은 일반적으로 불교경전을 보관하는 건물인데, 용문사 대장전은 윤장대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건립된 건물이라는 특징을
지녔다. 용문사 대장전은 다포계 맞배(책을 엎어놓은 모습)지붕 건물로 초창(1173년) 이후 8차례 이상의 중수가 있었으나 초창당시의 규모와
구조는 유지되고 있다.
중수과정을 거치면서 건축 양식적으로 현재는 17세기 말 모습을 하고 있으나 대들보와 종보의 항아리형 단면, 꽃병이나
절구형태의 동자주(짧은 기둥)에서 여말선초의 고식(古式)수법이 확인된다.
* 다포식(多包式): 공포를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배열한 공포 형식
무엇보다 대장전은 윤장대를 보관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경장건축이라는 데서 독특한 가치가
있다.
* 경장건축: 경전(經典)을 보관하는 건축물
윤장대는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회전식 경장(經藏)으로 전륜장, 전륜경장, 전륜대장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윤장대를 한번
돌리면 경전을 한번 읽는 것과 같다는 공덕신앙이 더해져 불경을 가까이할 시간이 없는 대중들에게 주목을 받았다.
윤장대는 고려 초 중국 송대(宋代)의 전륜장 형식을 받아들여 제작한 것으로 생각되며, 영동 영국사와 금강산 장안사 등에도
윤장대 설치 흔적과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현재는 예천 용문사 윤장대만이 유일하게 같은 자리에서 846년 동안 그 형태와 기능을 이어오며
불교 경장신앙을 대변하고 있다. 대장전 내부 양쪽 옆면 칸에 좌우 대칭적으로 1좌씩 설치되어 있으며, 8각형의 불전 형태로 제작되어 중앙의
목재기둥이 회전축 역할을 하여 돌릴 수 있다. 8각 면의 창호 안쪽에 경전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특히, 윤장대 동쪽은
교살창, 서쪽은 꽃살창으로 간결함과 화려함을 서로 대비시킨 점, 음양오행과 천원지방의 동양적 사상을 의도적으로 내재시켜 조형화(① 회전축에
원기둥과 각기둥 사용, ② 머름청판 풍혈을 오목새김(양각)과 돋을새김(음각)으로 조각, ③ 凹·凸과 음·양 수로 구성된 회전축 밑단의 초석부재
등) 시켰다는 점에서 뛰어난 독창성과 예술성이 인정된다. 또한, 그 세부 수법 등에서 건축‧조각‧공예‧회화 등 당시의 기술과 예술적 역량이
결집한 종합예술품이라는 점에서도 가치가 크다.
* 머름청판: 창문․창틀 아래 공간을 막아댄 널판
* 풍혈: 가구 속의 통풍을
위하여 뚫어 놓은 구멍
이처럼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는 고려 시대에 건립되어 여러 국난을 겪으면서도 초창 당시 불교 경장 건축의 특성과
시기적 변천 특징이 기록 요소와 함께 잘 남아있다. 특히, 윤장대는 불교 경전신앙의 한 파생 형태로 한 쌍으로 된 윤장대는 동아시아에서도 그
사례가 없고 국내 유일이라는 절대적 희소성과 상징성에서도 국보로 승격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총 24건의 국보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번에 예천 용문사의 대장전이 국보가 되면서 2011년 ‘완주 화암사 극락전’ 이후 8년 만에 다시 국보 건축물이 탄생하였다.
▒▒♡♡♡웃어야 건강, 건강해야 행복♡♡♡▒▒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마스 특집-신앙의 섬 백령도]섬 주민 90여%가 크리스챤이 된 이후의 놀라운 변화 (0) | 2019.12.23 |
---|---|
[동영상 중계]농악 대부분이 농사굿인데 반하여 금릉빗내농악은 유일하게 진(陣)굿으로 역동적 (0) | 2019.12.13 |
[동영상 중계]250년 동안 전승되어 온 '수영야류'...일제치하 소멸됐으나 해방후 재현에 성공 (0) | 2019.11.20 |
[대한뉴유스-맥아더 장군 가다]그의 마지막 연설 "노병은 결코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 (0) | 2019.11.10 |
[동영상 중계]지장보살 등 부처와 팔선녀가 등장하는 이색적인 황해도평산소놀음굿(국가무형문화재)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