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달의 대문은 고려 고종 때, 무명의 승려 김윤후가 이끈 의병들이 세계 최강 몽고군 총사령관 살례탑을
사살한 처인성 전투 장면-중학교 교과서에서 전재>
6.25참전 미국군 전사 실종장병 유가족 위로 만찬
동포 학살의 참극을 알리려다 일제에 암살당한 추송 장덕준 선생
2017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추송 장덕준(秋松, 張德俊, 1892~1920) 선생을 2017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1892년 황해도 재령의 빈농 집안에서 태어나 명신중학교에 진학하여 1911년에 졸업하고 모교 교사로 2년간 일했다.
□ 1914년 평양일일신문사에 입사하여 조선문 신문부 주간으로 근무하며 조만식, 김동원, 이덕환 등 평양의 주요 지식인들과 교류하였으며 1915년 일본 유학길에 올라 세이소쿠(正則) 예비학교에 다니면서 재동경조선인유학생 학우회에 참여하였다.
□ 1920년 김성수, 장두현 등과 함께 민간신문인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하여 논설반원과 통신부장, 조사부장을 겸하였다. 선생은 창간 다음날인 4월 2일자부터 4월 13일자까지 「조선소요에 대한 일본여론을 비평함」(필명 ‘추송’)이라는 논설을 통해 3․1운동을 왜곡한 일본의 여론을 비판했다.
□ 1920년 10월 만주 훈춘에서 일본군이 청산리에서 독립군에게 패한 보복으로 조선인 수천 명을 학살한 ‘경신참변’이 발생하였고, 선생은 간도 현장으로 달려가 일본군의 만행을 취재했다.
□ 취재 중이던 어느 날 이른 아침, 일인 두세 명에 불려 나간 후로 소식이 끊어져 한국 언론사상 첫 순직 기자가 되었다.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발간한 독립신문(1921년 10월 28일자)은「장덕준씨 조난논평」이라는 제하에 선생이 일본군에 암살당하였다는 기사를 보도하였다.
□ 한국기자협회는 1971년에 ‘기자협회 기장(記章)’을 제정하였는데, 장덕준선생의 투철한 기자정신을 기리고 본받자는 취지로 기념메달의 뒷면에 선생의 얼굴을 새겨 넣었다. 정부는 고인의 공적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첨부 】 관련 이미지
추송 장덕준
秋松 張德俊
1892. 6. 25. ~ 1920.
황해도 재령, 건국훈장 독립장(1963)
2017년 6월의 6․25 전쟁 호국영웅 최용남 해군 중령
◈ 국민의 손으로 무장한 첫 전투함 백두산함,
백두산까지 울려 퍼지는 승전고를 울리다 ◈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최용남’ 해군 중령을 6월의 6․25전쟁 호국영웅으로 선정하였다.
□ 최용남은 1950년 4월, 제2함대 PC-701 함장으로 부임했다. 선명이 ‘백두산’인 PC-701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한 유일한 전투함으로서, 강한 화력과 최신 장비로 무장된 전투함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던 해군 전 장병과 국민이 각출한 성금으로 구입한 것이었다.
□ 최용남 함장은 6.25전쟁 발발 당일 동해로 긴급히 출동하던 중 부산 동북방 해상에서 무장병력 600여 명이 탑승하고 남하하는 1,000톤급 북한 무장수송선을 발견했다. 칠흑 같은 어둠과 악천후 속에서 5시간에 걸친 추격 · 교전이 시작되었고 적선은 완강한 저항하였다. 그러나 정확한 거리계산과 전황에 따른 포격 목표지점 설정 등 최용남의 탁월한 함정전투지휘 앞에 적선은 얼마 버티지 못하고 격침되었다.
□ 이 대한해협해전의 승리로 6·25전쟁 초기, 적 게릴라에 의한 후방교란을 미연에 방지하였고, 유엔군은 179만 명의 병력을 비롯한 막대한 양의 전쟁 물자를 부산항으로 무사히 수송할 수 있었고, 이는 6·25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
□ 이후에도 최용남이 이끄는 백두산함은 서해안 방어 및 봉쇄작전을 실시하여 전쟁 직후 북한군의 끈질긴 해상침투를 저지하였고, 1950년 7월 27일 후방을 노리며 여수 해안으로 침투하던 북한 함정을 격퇴했다. 또, 인천상륙작전 시에는 군산 근해에서 영국 해군과 함포사격으로 양동 작전을 실시하며 적을 유인하여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정부는 최용남 함장의 여러 전투를 넘나든 공로를 크게 인정하여 1951년 태극무공훈장을 수여했다.
|
최용남 해군 중령 (1923.10.15 ~ 1998.11.26) 상훈 : 태극무공훈장 |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다큐]6.25 전쟁 발발로 대한민국이 위기에 처하자 미성년 학생들이 전선으로 달려 갔다. (0) | 2017.06.24 |
---|---|
[동영상 다큐] 신미양요 최후의 격전지 '손돌목 돈대'의 눈물 (0) | 2017.06.15 |
[동영상 르포] 2천여 독립군이 일본군 5천여 명을 궤멸시킨 '청산리 대첩' 현장을 찾아 (0) | 2017.05.28 |
[동영상 중계] 부산 '수영청놀이' 가운데 흥미진진한 '소싸움'(부산시무형문화재 제2호) (0) | 2017.05.18 |
[동영상 중계]어촌에서 풍어제가 사라졌다. 그 명맥을 '서해안풍어제'가 잇다(국가무형문화재) (0) |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