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문화유산 답사기

[문화유산 답사기]보물 제568호 윤봉길 의사의 유서를 읽으면 애국혼이 화산처럼 솟아 오른다

문화재방송 2019. 8. 15. 08:27

 

 

 윤봉길 의사는 상해군법회의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1932. 12.19  아침 7시40분

 

 

 

    가나자와 교외 미고우시 육군 공병작업장에서 총살형으로 순국하셨다.

 

     당시 윤 의사 나이 25세였다.<총탄이 이마를 관통했다>

실제 크기로 보시려면 클릭해 주세요
  <한인애국단 입단식>


실제 크기로 보시려면 클릭해 주세요
                             <이상 윤봉길 의사의 유서-보물 제568호로 지정>


 

 

                                                             <선서문>
나는 적성(赤誠)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중국을 침략하는 적의 장교를 도륙하기로 맹세하나이다.

<청년제군에게>
피 끊는 청년제군들은 아는가 모르는가.
무궁화 삼천리 내 강산에
왜놈이 왜 와서 왜 광분하는가.
피 끊는 청년제군들은 모르는가.
되놈이 되와서 되가는데
왜놈은 와서 왜 아니가나.
피 끊는 청년제군들은 잠자는가.
동천에 여명은 밝아지려 하는데
조용한 아침이나 광풍이 일어날 듯
피 끊는 청년 제군들아 준비하세.
군복 입고 총 메고 칼 들면서
군악 나팔에 발맞추어 행진하세.
<강보에 싸인 두 병정에게>
 (아들에게 남긴 유서)

너희도 만일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해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의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무덤 앞에 찾아와 한 잔의 술을 부어놓아라.
그리고 너희들은 아비없음을 슬퍼 말아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
어머니의 교양으로 성공자를 동서양 역사상 보건대
동양으로 문학가 맹자가 있고
서양으로 불란서 혁명가 나폴레옹이 있고
미국에 발명가 에디슨이 있다.
바라건대 너희 어머니는 그의 어머니가 되고
너희들은 그 사람이 되어라.
 

 

"고향에 계신 부모 형제 동포여! 더살고 싶은것이 인정입니다.

그러나 죽음을 택해야 할 오직 한번의 가장 좋은 기회를 포착했습니다.

나만 나혼자만 잘먹고 잘살다 죽을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나는 나와 내가족의 미래보다 조국을 선택했습니다.
 백년을 살기보다 조국의 영광을 지키는 기회를 택했습니다.

 

 안녕히, 안녕히 들 계십시오."

 

- 윤봉길 의사 유서 中 -

 

 

 

 

<홍커우공원의 단상> 

 

 

 

윤봉길 의사는 역사적 의거일인 1932년 4월 29일 일찍 교포 김해산(金海山)의 집에서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 김구(金九) 단장과 함께 아침식사를 했다. 그는 식사가 끝난 후
수통으로 위장된 폭탄 1개와 도시락으로 위장된 폭탄 1개를 김구 단장으로부터 받아
하나는 어깨에 메고 하나는 손에 들었다.
그리고 윤봉길 의사는 자기가 찬 새 시계와 김구 선생이 찬 헌 시계를 바꾸어 갖고,
사용하고 남은 의거 준비금을 김구 단장에게 돌려주었다.

그 후 그는 김구 단장의 전송을 받으며 택시를 타고 홍커우공원으로 갔다.
차에서 내려 수통으로 위장된 것은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으로 걸고, 도시락으로 위장된 것은
오른손에 들고 홍커우공원 정문을 들어서면서 중국인 문지기에게 일본인이라고

응대하며 통과하였다.
오전 7시 50분경 공원 안으로 들어가 미리 정해 두었던 지점에 이르러 폭탄을 투척할 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당시 홍커우공원 안에는 상해거주 일본인이 1만 명, 상해 침략 일본군이 1만 명,
그밖에 각국 사절, 각계 초청자 등을 합하면 2만 명이 넘는 인파가 모여 성황을 이루었다.
그들은 중앙의 높은 식단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면에 일본관민이 질서정연하게 도열해 있었고,
그 앞에는 일본 학생들이 도열해 있었다.
그리고 그 좌우에는 열병행사에도 참가할 일본 육해군의 군대가 정예무장을 하고 도열해 있었다.
식단 뒷면에는 기마 헌병이 단 밑으로 단상을 호위할 뿐 아니라, 그 뒤 수 미터의 간격을 두고
경비병력이 이중 삼중으로 삼엄하게 경계하고 그 뒤에 일반 군중이 회집해 있었다.

높고 넓은 단상 위에는 도륙 표적물인 일제 침략군 사령관 시라카와(白川義則) 대장과 함대사령관
노무라(野村吉三郞) 중장이 중앙에 자리 잡았고, 
 그 좌우로 일제 제 9사단장 우에다(植田謙吉) 중장, 주중공사 시게미쓰(重光葵),
거류민단장 가와바다(河端貞次), 주중총영사 무라이(村井倉松), 민단간부 토모노(友野盛) 등
 7명의 상해사변의 원흉들이 천주(天誅)를 기다리며 착석해 있었다.

윤봉길 의사는 미리 작정했던 후편 오른쪽 군중 속으로 들어가 투척 장소와 시간을 맞추어
의거의 최후 준비를 하였다.
오전 11시 20분경 그들 축하식의 제 1차 순서인 관병식(觀兵式)을 끝내고 이어 제 2차 순서인
축하식순(祝賀式順)으로 들어가 일본국가가 제창되어 거의 끝날 무렵이었다.



드디어 역사적인 11시 50분경, 윤봉길 의사는 도시락으로 된 자살용 폭탄을 땅에 내려놓고
어깨에 걸메고 있던 수통 형 폭탄의 덮개를 벗겨 가죽끈이 붙은 그대로 오른손에 쥐고 왼손으로
안전핀을 빼면서 앞사람을 헤치고 2미터 가량 전진하여 17미터 내외 떨어진 중앙 단상 위로
힘껏 투척하였다.
그 폭탄이 그대로 노무라(野村吉三郞)와 시게미쓰(重光葵) 면전에 명중하면서 폭발,
천지를 진동하는 굉음을 내고 식장은 순식간에 아비규환의 아수라장으로 변하였다.

결국 상해침략의 원흉인 총사령관 육군대장 시라카와(白川義則)는 전신에 24개처의 탄편을 맞아
신음하다 5월 24일 사망하고, 해군총사령관인 제3함대 사령관인 해군중장 노무라(野村吉三郞)는
실명하였으며 제9사단장 육군중장 우에다(植田謙吉)는 다리를 절단하였다. 그리고 주중공사 시
게미쓰(重光葵)는 다리가 부러져 절뚝발이가 되었고
거류민단장이며 상해사변의 민간 원흉인 카와바다(河端貞次)는 창자가 끊어져 즉사하였다.
이밖에도 단상에 있던 주중 총영사 무라이(村井倉松)와 민단간부 토모노(友野盛)도 각기 부상하여
한 사람의 예외도 없이 의탄을 맞았다.

윤봉길 의사는 얼른 정신을 차리고 땅에 잠시 내려놓았던 자폭용 도시락 폭탄을 들어올려 안전핀을
뽑으려는 순간, 부근 경비를 맡았던 일제군경의 제지를 받았고 군중과 그들로부터 즉석에서
포위당해 집중구타당하는 바람에 혼도하고 말았다.

의거 현장에서 윤봉길 의사를 포박한 일제 군경은 윤봉길 의사를 전시 군법회의 대상자로
상해(上海) 일본군 사령부 수금소(囚禁所)에 감금하고 혹독한 고문과 냉혹한 심문을 통해 의거
전말과 그 배후를 추궁하였다.
그러나 윤봉길 의사는 한인애국단 김구 단장이 그 해 5월 10일 ‘홍구공원작탄진상’이란
성명서를 통해 그 진상을 세상에 공포할 때까지 일체 배후와 사건 경위를 함구하였다.

 

그러나 윤봉길 의사는 1932년 5월 28일 상해파견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선고를 받았다.
그 때 윤봉길 의사는 “이 철권으로 일본을 즉각 타도하려고 상해에 왔다”고 떳떳이 주장했다.

사형이 확정된 후 윤봉길 의사의 유서가 나돌자 헌병대에서 다시 윤봉길 의사를 호출했다. 그
 자리에서 윤봉길 의사는 자신이 쓴 유서를 확인해 주며 “현재는 우리나라가 힘이 약하지만
세계 대세에 의해 반드시 우리는 독립한다. 일본은 지금 열강이지만
시든 나뭇잎같이 항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구 선생과 윤봉길 의사>
윤 의사가 떠나기 직전 말했다. “선생님, 제 시계와 바꿉시다. 제 것은 어제 6원을 주고 구입한 것인데,
선생님 시계는 2원짜리입니다. 저는 이제 한 시간 밖에 더 소용이 없습니다.”
시계를 맞바꾼 백범은 목메인 소리로 “후일 지하에서 만납시다”라고 인사한다.

 

 

 

<백범 김구 선생(왼쪽)이 윤봉길 의사 사후인 1946년 4월 26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윤봉길 의사  
  생가를 방문했을 때의 모습. 왼쪽부터 백범 선생,
윤 의사의 부친인 윤황, 모친인 김원상, 부인인 배용순, 아들인 윤종 씨.>


 

 



 

윤봉길의사가 처형되기직전 묵어두었던 형틀-
가로축은 사라졌고 이렇게 세로축만을 보관하고 있다.
 <윤봉길 의사 기념관 소장>

 

 

농민독본 보물568-10호

 

 

소 재 지; 충남 예산군  (충의사)


윤봉길(尹奉吉)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량리에서 태어나, 덕산보통학교와 오치서숙에서 공부하였고

19세 때 고향에 야학을 세워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했다. 20세 때 각곡독서회를 조직하고 『농민독본』을

편찬했으며, 22세 때 월진회를 조직, 농촌운동을 정열적으로 전개하였다.

 

 

윤봉길 의사 야학교재 농민독본 '한글편'

 

 

윤봉길의사 유품 [尹奉吉義士遺品]
 
 
 

 
요약
독립운동가 윤봉길의 유품들.
 
지정종목보물
지정번호보물 제568호
지정일1972년 08월 16일
소장장서각, 윤종, 윤남의
소재지충남 예산군 외
시대일제강점기
종류/분류유품
크기13종 68점
 
   
 
 
 
 
 
 
본문
보물 제568호. 13종 68점. ① 선서문 1매:1932년 한인애국단에 입단할 때 자필로 쓴 선서문. ② 윤봉길의 이력서 및 유서 각 1매:한인애국단에 입단할 때의 이력서 및 유서. ③ 회중시계 1개:상하이[] 훙커우공원[]으로 거사를 위해 떠나는 날 김구()의 낡은 시계와 바꾸어 찬 것. ④ 지갑과 중국화폐(지갑 1개, 화폐 10개):훙커우공원 거사 때 갖고 있던 것. ⑤ 윤봉길 인():훙커우공원 거사 때 갖고 있던 뿔도장으로, “”이라 새겨져 있다. ⑥ 손수건:훙커우공원 거사 때 갖고 있던 것으로, 42cm×42cm의 면직 수건. ⑦ 안경집:훙커우공원 거사 때 갖고 있던 것으로 당시에는 안경이 있었으나 없어져 집만 남았다. ⑧ 일기():윤봉길의 21세 때 일기. ⑨ 월진회창립취지서():1929년 월진회를 창립할 때 자필로 쓴 것. ⑩ 농민독본():농민계몽을 위해 고향에서 쓴 책. ⑪ 형틀대 1개:1932년 12월 19일 윤봉길이 사형을 받을 당시 묶인 것. ⑫ 편지 4신(). ⑬ 월진회 통장 등 18종이다. 이 유품 중 ① ②는 국가소유로 장서각() 소장, ③∼⑫는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杮) 윤종() 소장, ⑬은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윤남의() 소장이다.

2008년 4월 23일 
문화재청은 이 중 문화재적 가치가 떨어진다고 평가된 '연행사진' 2매와 '친필액자' 3점을 보물에서 지정 해제하였다. 

 

 출처:인터넷 검색창에서 전재

 

 

◀선조들의 숨결어린 문화재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은 애국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