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분류 전체보기 833

[문화유산 답사기]예와 강직함을 지닌 충청도 선비정신을 좇아 <2 >

- 논산 명재고택 자연 앞에서 뽐내지 않는다 윤선거는 그의 아들인 명재 윤증의 아버지로 더 유명하다. 집안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고택은 충남 논산시 노성면에서 만날 수 있다. 숙종 때 윤증이 지은 논산 명재고택(중요민속문화재 제190호)은 자연 속에 어우러져 한옥의 기품을 은은히 ..

[문화유산 답사기]예와 강직함을 지닌 충청도 선비정신을 좇아 <1>

스승과 제자가 함께 걷는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따르는 둘의 뒷모습에서 오랜 벗의 모습이 보인다. 같은 곳을 바라보며, 함께 뜻을 세우고 그 위에 비슷한 모습의 집을 짓는다. 둘은 걸음을 함께 하지만, 때로는 다른 곳을 바라보기도 한다. 후학을 양성하는 것은 학자들에게는 중요한 일..

[동영상 중계]세계문화유산 '농악'...한국 농악의 진기. 묘기 10분으로 압축

기획, 취재, 촬영, 편집 :又耕의 추억나무 농악이란 무엇인가? 농악은 일하는 사람들의 음악이다. 일하는 사람들은 농악 장단을 통해 힘을 얻고 즐거움을 나누며 슬픔을 달래 왔다. 오늘날의 농악은 주로 관중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연희되는 것이 많지만 예전에는 동제, 걸립굿, 두레굿과 ..

동영상 2014.12.01

[문화유산 답사기]아버지와 아들, 시아버지와 며느리...대원군. 고종. 그리고 명성황후

- 명성황후 이야기 : 경복궁, 임진왜란에서 조선의 몰락까지 : 경복궁을 법궁(法宮) 또는 정궁(正宮)이라 부르는 것은 임금이 정무를 보며 생활하던 궁이었기 때문이다. 만약을 대비해 지어 놓은 곳을 이궁(離宮)이라하는데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소실(燒失)되기 이전에는 창덕궁과 창경..

[문화유산 답사기]천재화가 신인선 VS 천재문인 허초희의 숨결 따라

- 천재화가 신인선 VS 천재문인 허초희 : 두 여인 : '천재화가 신인선' 과 '천재문인 허초희'를 만나는 '문화유산 여행길' 은 두 여인의 출생과 삶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강릉에서 출발한다.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케 하는 경포호의 풍경 너머에는 16세기 조선을 풍미한 두 여인의 이야기가 숨..

[순국선열의 날 특집]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순국선열의 날'을 모르면 부끄러운 일이다

고광순 의병장이 사용하던 '불원복기' 순국선열의 날, 그 의미와 유래 여러분 혹시 ‘순국선열의 날’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순국선열의 날은 일제에 침탈당한 국권의 회복을 위해 소중한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독립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고자 제정된 정부기..

나의 이야기 2014.11.15

[동영상 중계] 해서탈춤을 대표하는 은율탈춤(중요무형문화재 제61호) 여섯 마당

기획, 취재, 촬영, 편집 :又耕의 추억나무 은율탈춤 소개 탈춤이란 한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가면으로 얼굴이나 머리 전체를 가리고 다른 인물, 동물 또는 초자연적 존재(신) 등으로 분장하여 음악에 맞추어 춤과 대사로써 연극하는 것을 말한다. 탈춤은 조선 전기까지 각 지방에서 행해지..

동영상 2014.11.11

[문화유산 답사기]세계문화유산 판소리의 고장...고창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13. 세계 최대 고인돌군 - 고창 고창은 작은 지역이지만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릴 정도로 볼거리가 다양하고 4월부터 11월까지 지역 축제도 많다. 선사시대의 흔적을 탐방열차를 타고 둘러볼 수 있는 고인돌 공원과 경사가 완만하며 산책하기 좋게 잘 단장된 고창읍성은 최근 가족 여행..

[동영상 중계]경남지역 농촌의 4계절을 노래한 고성농요(중요무형문화재 제84-1호)

기획, 취재, 촬영, 편집 :又耕의 추억나무 문화재 소개 농요란 농민들이 힘들고 바쁜 일손으로부터 피로를 잊고 능률을 올리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들노래 또는 농사짓기소리라고도 한다. 고성농요는 하지 무렵부터 시작되는 농사소리가 주축을 이루며, 등지라고도 한다. 등지란 모내기..

동영상 2014.11.03

[문화유산 답사기]조선 왕실이 발원한 곳 - 전주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12. 조선 왕실이 발원한 곳 - 전주 전주는 900년에 견훤이 후백제를 세운 곳으로 조선시대에는 전라감영이 있던 매우 큰 도시였다. 이 때의 흔적을 알 수 있는 전주객사와 전주성의 남쪽 문인 풍납문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 풍남문을 중심으로 전주한옥마을과 남부시장이 연결된다. 또 전..

[문화유산 답사기] 19C말 화려했던 흔적 - '강경'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11. 19C말 화려했던 흔적 - 강경 강경의 위치는 충청도와 전라도를 잇는 해상과 육상의 교통 요지이다. 또한 강경포구는 서해와 통하는 금강을 곁에 두고 있어 수산항으로서 발전하던 곳이다. 특히 시장 깊숙이 배가 들어오는 지형을 이용해 서해 수산물 최대 시장으로 발전하였으며 성어..

[문화유산 답사기]백제 사비시대의 영광, '부여'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10. 백제 사비시대의 영광 - 부여 부여는 공주와 더불어 백제 문화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고구려 장수왕의 침공으로 한성에서 공주로 천도한 백제는 25대 무령왕(501~523)과 26대 성왕(523~554)에 이르러 어느 정도 국력을 회복하여 부여로 다시 천도하며 강력한 나라 만들기를 염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