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창설과 발전의 중심인물이면서 해인사 폭격명령을 거부해서 해인시와 고려대장경을 구해낸 김영환 장군의 명패. 이 명패는 해안사 폭격명령을 거부했을 당시의 명패이다.|문화재청 제공
‘빨간 마후라는 하늘의 사나이…’. 6·25전쟁 당시 공군 초대 10전투비행전대장이던 김영환 장군(1920~1957)은 공군의 상징인 ‘빨간 마후라’로 알려진 인물이다. 김영환 장군은 제1차 세계대전 때 붉은 색으로 도색한 전투기를 타고 80여 대의 연합군 항공기를 격추한 독일 공군의 에이스 만프레도 폰 리히토벤을 흠모했다. 그러던 김영환 장군이 형수가 만들어준 자주색 마후라를 두르고 다니면서 ‘빨간 마후라’가 일약 한국 공군에서 유명해졌다.
여기에 1964년 전투조종사를 소재로 한 ‘빨간 마후라’ 영화가 상영됨으로서 영화주제곡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때부터 빨간 마후라가 공군조종사를 지칭하는 상징이 됐다. 비행교육과정을 수료한 조종사들에게 조종 흉장과 함께 참모총장이 직접 빨간마후라를 수여하는 전통이 이어졌다.
공군 제10전투비행단의 주요활동을 연원일 사건제목, 출동, 비행훈련 등을 요약한 군사자료.|문화재청 제공
그런데 김영환 장군에게 ‘빨간 마후라’를 능가하는 전설같은 이야기가 더 있다. 바로 해인사 폭격작전을 거부함으로써 해인사 장경판전과 고려대장경을 지켜낸 것이다. 문화재청이 엮은 <수난의 문화재-이를 지켜낸 인물 이야기>(2009년 개정판)에 따르면 1951년 9월18일 낙오된 북한군 900여 명이 해인사로 몰려들었다.
이때 당시 제10전투비행전대장인 김영환 대령은 ‘해인사를 폭격하라’는 명을 받는다. 김영환을 편대장으로 한 제10전투비행전대의 폭격기 4대는 기관총 뿐 아니라 폭탄과 로켓탄을 장착하고 있었다. 특히 김영환 대령의 폭격기에는 ‘네이팜탄’도 적재돼 있었다. 해인사에 폭탄을 투하하고 기관총을 발사해서 북한군을 쓸어버릴 작전이었다.
6·25 전쟁 당시 임상섭 조종사가 작성한 비행기록 수첩과 지도. 전투기를 비행한 날짜와 기종, 횟수, 출격지점 등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문화재청 제공
그러나 김영환 대령은 “내 명령 없이는 절대 폭탄과 로켓탄을 사용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폭력을 인도한 정찰기가 “편대장은 무엇하는가. 빨리 폭탄을 투하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나 김영환 대령은 사찰 상공을 몇차례 선회한 다음 해인사 뒷산 너머로 폭탄과 로켓탄을 투하하고 귀대했다.
김영환 대령은 귀대후 “국가보다도 사찰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냐”는 추궁을 받았지만 “사찰이 국가보다는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공비보다는 더 중요하다”고 분명히 대답했다.
문화재청의 <수난의 문화재> 개정판은 “김영환 대령은 사찰을 파괴하는 데는 하루면 족하지만 해인사 같은 사찰을 세우는 데는 천년의 세월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고 마무리지었다. 해인사 입구에는 2002년 김영환의 공적을 기리는 ‘김영환 장군 팔만대장경 수호 공적비’가 건립됐다. 김영환 장군은 1954년 3월 5일 F-51(무스탱)기로 사천기지를 이륙하여 강릉기지로 향하던 중 기상악화로 동해안 묵호상공에서 실종됐다. 김 장군은 실종 3년 후 정식으로 사망처리됐다.
해마다 해인사에서 열리는 김영환 장군 추모재. 해인사와 고려대장경을 구한 영웅으로 알려져 있다.|해인사 사진자료
물론 김영환 장군의 이야기와 관련해서는 명확한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시 김영환 장군 주변 사람들과 해인사 스님들은 한결같이 ‘김영환 편대장=해인사와 고려대장경을 지킨 위대한 군인’으로 알고 있다. 2009년 이 사실을 규명하기 위한 공군 차원의 역사자료발굴위원회가 구성됐다. 6·25 전쟁 때 100회 이상 출격한 조종사 등 14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는 ‘김영환=해인사 구한 인물’로 규정했다.
“당시 김영환 전대장이 ‘잘못했으면 큰일 날 뻔했어. 해인사를 공격할 뻔했어’라 했다. 당시엔 무슨 이야기인 줄 몰랐는데 지금에 와서야 그 말을 이해할 것 같다.”(박재호 예비역 장군)
“사천기지에 근무했을 때 김영환 전대장으로부터 ‘야, 오늘 내가 절을 공격할 뻔 했어, 큰 일 날 뻔 했어’라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생생하다.”(배상호 예비역 장군)
국가등록문화재(제787호)로 등록된 ‘군사기록물’. 전투수행을 위해 구체적으로 하달한 계획·명령·지시 기록과 전투상보와 작전일지 등 총 15종 7521건이다.|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김영환 장군이 이끈 공군 제10전투비행단 관련 군사기록물 등 6·25 전쟁 유산 3건을 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24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또 ‘인천 팔미도 등대’를 사적으로 지정했으며, ‘6·25전쟁 군사기록물(육군)’을 등록문화재로 등록했다. 이중 공군 관련 자료는 전쟁 당시 공군 제10전투비행단과 관련된 유물이다. 제10전투비행단 종합보고서와 비행 기록 수첩 및 출격 표시 작전지도, 10비 군사일지, 조종사 출격일지, 김영환 장군 명패 등 총 6건(8점)이다. 이중 ‘제10전투비행단 종합보고서’는 비행단의 작전·정보·교육·기상 등 작전 요소를 망라하여 도면과 문서로 정리한 유물이다. 한국군과 북한군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백마고지 전투와 관련해서 제9사단의 이동병력과 무기현황, 작전경과, 요도 등이 담겨있는 ‘백마고지 전투 상보’.|문화재청 제공
‘비행기록 수첩 및 출격 표시 작전지도’는 참전 조종사(임상섭)가 1952~53년 사이 작전을 수행한 지역을 수첩에 기록하고 지도에 표시한 유물이다. 당시 연습 및 출격기록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10비 군사일지’는 부대의 주요 활동을 날짜 순으로 기록한 것이다. ‘조종사 출격일지’는 참전 조종사(이배선)가 1952년부터 1953년까지 출격일시·목표지점·임무·작전지도·마음가짐 등을 일자별로 상세히 기록했다. ‘김영환 장군 명패’는 초대 10전투비행전대장 시절(1951년 8~11월 10일)에 조종사 일동이 제작한 것이다. 이 유물들은 해당 유물들은 6·25전쟁 시 공군의 작전수행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 희귀하며, 역사적·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작곡가 이상근의 친필악보 ‘보병과 더불어’. 종군작가로 참전한 유치환의 전쟁시집인 ‘보병과 더불어’를 토대로 전쟁 기간 중 관현악과 합창이 함께하는 칸타타형식으로 작곡한 작품이다.|문화재청 제공
이번에 발굴된 육군기록정보관리단 소장 ‘전쟁 군사 기록물(육군)’(등록문화재 제787호)은 전쟁 발발부터 정전 협정까지 군사작전 기록물로 치열했던 격전의 현장이 담겨있다. 이번에 등록과 함께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전쟁 기간 동안 육군본부·군단·사단·후방부대 등에서 작성한 이 기록물은 전투 수행을 위해 구체적으로 하달한 계획·명령·지시 기록과, 전투 상황에 대해 상세히 보고한 전투상보·작전일지 등 총 15종 7521건이다.
해당 유물은 화살머리고지, 백마고지, 피의 능선, 백석산 전투 등 치열했던 격전의 현장과 작전요도, 적군현황, 전투경과, 병력 등을 낱낱이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물은 25일부터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에서 검색 및 활용이 가능하다.
<아래 내용은 스크랩된 것으로 최근 기사가 아닙니다>
´팔만대장경 폭격거부´ 故 김영환 장군에 훈장
합천해인사서 열린 추모제에서 금관문화훈장 추서
◇ 故 김영환 장군 ⓒ문화재청 |
경남 합천해인사에 소장된 8만여 장의 불경을 새긴 국보 32호인 팔만대장경판(2007년 6월 세계기록유산 등재)을 보관하고 있는 목조건물 국보 52호 장경판전(1995년 12월 세계문화유산 등재)을 지킨 고(故) 김영환 장군(1920~1957)에게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됐다.
정부는 해인사(주지 선각스님)에서 봉행하는 ‘고 김영환 장군 호국 추모법회’를 계기로 장군에게 세계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을 6.25 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유산을 지킨 공적을 기리고자 금관문화훈장(1등급)을 추서했다.
◇ 장경판전 전경 ⓒ합천군청 |
문화재청장은 경남 합천 해인사 탑 마당에서 봉행되는 ‘고 김영환 장군 호국 추모법회’에 참석, 정부를 대표하여 훈장을 유족에게 전달했다.
추모재에서는 금관문화훈장 추서와 김영환 장학기금 2000만원을 공군사관학교 교육진흥재단에 전달한다. 형인 김정렬 장군과 함께 공군을 창설한 7인 중 한 명인 김 장군은 6·25 당시 가야산에 숨어든 인민군을 소탕하기 위해 공군 편대장으로 출격했으나,"인민군 수백 명을 살려 보내더라도 민족의 소중한 문화재인 팔만대장경은 폭격할 수 없다" 며 공격을 포기,팔만대장경과 해인사를 지켜냈다
고 김영환 장군은 이밖에도 공군의 상징인 빨간마후라를 창안해 낸 공군 문화의 창시자로 영화 ‘빨간 마후라’의 실제 주인공이기도하다.
◇ 장경판전 내부 ⓒ합천군청 |
해인사에서는 장경판전과 팔만대장경판의 세계문화유산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계기로 2011년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열었다.[데일리안 = 최진연 기자]
故 김영환 장군 공적비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8월 김영환 장군은 공군 수뇌부로부터 공비 소탕을 위해 경남 합천 해인사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끝까지 거부했다. 김영환 장군의 명령 거부가 없었다면 유네스코 등재 세계문화유산과 세계기록유산인 해인사 장경판전(국보 제52호), 고려대장경판(국보 제32호)은 역사에서 사라질 뻔했다. 해인사와 조계종은 1997년 장경판전 등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을 계기로 김영환 장군의 업적을 기리는 사업을 추진, 2002년 6월 해인사 입구에 김영환 장군 공적비를 세웠다.
공적비는 높이 2.3m 크기로 팔만대장경 경판을 본뜬 모습으로 오석과 황동석으로 만들어졌다. 총 978자로 이루어진 비문은 글 지관스님(가산불교문화연구소장), 송천 정하건씨의 글씨, 충남 보령 조각가 박주부씨가 비석을 제작하였다.
여기 화살같이 흐르는 짧은 생애에 불멸(不滅)의 위업을 남기고 영원히 살아남은 영웅(英雄)이 있다. 김영환 장군!(金英煥將軍) ! 그는 1921년 서울 사직동에서 태어나 형인 김정열(金貞烈)장군과 함께 우리 공군 창설과 그 육성에 신명(身命)을 기울이며 조국의 하늘을 지키는 명장으로서의 면모를 보였으며 6.25 한국전쟁 중에는 탁월한 결단으로 우리민족의 성보(聖寶)고려팔만대장경판을 포화의 위기에서 구하는 호국호법의 큰 공을 세우고 1954년 3월 5일 34세의 젊은 나이로 장렬하게 전사 하여 그 고귀한 명예를 영원히 남기고 있다.
고려대장경판은 고려 말 몽고병을 물리치려는 거국적 원력으로 시작한 호국의 얼이 담긴 민족의 성보로 조선 세종 때에는 왜의 끈질긴 기증 요구에 중신들은 응하려 하였으나 세종의 결연한 의지로 보존되어 오다가 6.25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인민군 낙오자 900 여명이 해인사에 주둔함으로써 민족의 성보는 위기일발 전쟁의 포화에 휩싸이게 되었다. 51년 7월 경남지구 공비토벌에 참여한 김영환 장군은 동년 9월 18일 오전 6시 30분 지상군 부대의 긴급 항공지원 요청에 따라 4기편대로 합천 상공에서 정찰기와 만나라는 무전명령을 받는다. 정찰기로부터 지시된 훈령은 해인사의 공비소굴을 발사 폭격하여 지상군을 지원하라는 것이었다. 드디어 정찰기의 표시용 백색연막이 선명하게 목표를 가리켰고 그곳은 바로 대적광전(大寂光殿)의 앞마당이었다. 네이팜탄 1발이면 팔만대장경은 물론 해인성지가 곧 잿더미로 바뀌고 말 찰나에 놓였다. 바로 이때 김 장군은 목숨건상부의 폭격명령을 어기고 요기(僚機)에게 명령했다. 각기는 나의 뒤를 다르되 나의 지시 없이는 절대로 폭탄과 로켓트탄을 투하하지 말라 다시 정찰기로부터 독촉명령이 내려졌고 2,3,4번 기장들은 편대장에게 재차 폭격명령을 내려줄 것을 재촉하였다. 그러나 편대장 김 장군의 뜻은 단호했다. 각 기장들은 일체 공격을 중지하라는 날카로운 명령만이 무전기를 통해 전해졌다. 다만 사찰 상공을 몇 바퀴 선회한 뒤 해인사의 뒷산 능선 너머로 폭탄과 로켓트탄을 투하하고 귀대했다. 대장경판이 보존된 장엄한 역사적 순간이었다. 참으로 목숨 건 탁월한 판단과 애국심으로 이룬 불멸의 위업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한 불교조계종 총무원 해인총림 대한민국 공군이 뜻을 모아 그의 빛나는 호국호법의 장렬한 공적을 영원히 기리고자 이 공적비를 세운다.
호국하온 민족혼인 고려팔만 대장경판
국난중에 호국하고 재난에도 호민했네
6.25 의 위기맞아 김장군이 지켰으니
호국장군 아깝게도 서른네살 젊은나이
순국으로 산화하니 짧은시간 굵게살다
가야산이 변함없듯 동해바다 고갈되고
백두산이 마멸되나 위대하신 그이름은
이나라와 함께하여 영원토록 빛나리라
◀선조들의 숨결어린 문화재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은 애국심입니다"
'문화유산 답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유산 답사기] 국보 제76호 '亂中日記'의 현장을 가다 (0) | 2020.10.18 |
---|---|
[문화유산 답사기]후삼국 가운데 가장 광활한 영토를 통치했던 후고구려, DMZ에 갖힌 궁예의 궁궐터를 언제나 다시 볼 수 있으랴 (0) | 2020.10.11 |
[동영상 중계]한국 5대 농악의 진기묘기 /선비들이 꿈에도 그리던 그곳 '관동팔경' (0) | 2020.10.01 |
[한가위 특집:세계의 문화유산 돌아보기] 모나리자, 만종, 오필리어 등 세계의 유명 박물관 컬렉션(Museum Collection) (0) | 2020.09.27 |
[한국의 절경 4]코로나 팬데믹 속에 직접 가보기 어렵지만 사진으로라도 보고픈 한국의 명승(名勝) 제41호에서 제50호까지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