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문화유산 답사기

[문화유산 답사기]국보 1호는 '훈민정음 해례본' 으로 변경 청원, 국회 계류 중, 국보 제2호는?

문화재방송 2016. 10. 14. 04:22


문화재청 자료

- 공식명칭: 원각사지 십층석탑 (한자 명칭 :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 지정일: 1962.12.20
- 테마: 유적건조물, 종교신앙, 불교, 탑
- 시대: 조선 시대
- 주소: 서울 종로구 종로 99 (종로2가) (탑골공원 內)


문화재청 설명

이 탑은 조선 시대의 석탑으로는 유일한 형태로, 높이는 약 12m이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탑 구석구석에 표현된 화려한 조각이 대리석의 회백색과 잘 어울려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탑을 받쳐주는 기단(基壇)은 3단으로 되어있고, 위에서 보면 아(亞)자 모양이다. 기단의 각 층 옆면에는 여러 가지 장식이 화사하게 조각되었는데 용, 사자, 연꽃무늬 등이 표현되었다. 탑신부(塔身部)는 10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층까지는 기단과 같은 아(亞)자 모양을 하고 있고 4층부터는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국보2호 탑신 근접모습


조선 시대 숭유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왕실의 보호 속에 원찰로서 오랫동안 번성하였으나 성종대부터 강화된 억불정책으로 쇠락의 길을 걷다가 연산군 10년(1504) 마침내 폐사되고 마는데 연산군은 이곳에 궁중음악과 무용을 담당하는 장악원(掌樂院)을 옮겼다가 그마저도 이름을 연방원(聯芳院)으로 고쳐 전국에서 뽑아 올린 기생과 악사들을 관리하도록 했으니, 사찰이 임금의 유흥을 위한 기생방으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연산군이 반정으로 축출된 뒤에는 3년쯤 한성부 청사의 일부로 사용되었으며 중종 9년(1514)에는 건물의 재목을 여러 공용건물 보수에 사용해버림으로써 원각사는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되고 그 자리에는 탑과 비만 남게 되었다.
 
 
탑골공원
 
탑골공원은 원각사가 폐사되고 탑과 비만 남았던 자리에 들어선 서울에서의 최초의 근대식 공원이다. 사바틴 설계로 세워진 인천 자유공원보다 약 9년쯤 늦은 1897년에 총세무사로 근무하던 영국인 브라운의 건의로 세워졌으며, 이때 팔각정도 함께 지었는데 초기에는 황실 공원으로 제실, 음악 연주 장소 등으로 사용하였으나, 1913년부터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었으며 1919년 삼일운동 당시 학생들과 시민들이 모여 학생대표의 독립선언문 낭독에 이어 대한민국 만세를 외치고 시위행진을 벌였던 곳이다.
 
그런데 왜 탑골공원이라 부르는가? 탑(塔)이란 산스크리트어 stupa, 팔리어 thupa의 음사인 탑파(塔婆)의 준말로, 공양하고 예배하기 위해 일정한 형식에 따라 흙, 벽돌, 나무, 돌 등을 높게 쌓은 구조물을 말하는데 원래는 부처의 유골을 안치한 그 구조물을 탑이라 하고, 그것을 안치하지 않은 것을 지제(산스크리트어 caitya)라고 하였으나, 보통 구별하지 않고 모두 탑이라고 한다.





 수많은 부처, 보살상, 구름, 용, 사자, 모란, 연꽃 등 층층이 새겨진 유려하고 정교한 조각은 흐물흐물 녹아내리는 듯했고, 독특하고 이국적인 정취는 퇴색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석탑으론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세련된 석탑인 ‘원각사지 10층 석탑’의 높이는 12m다. 유리관은 서울시에서 1999년 말 비둘기 배설물로부터 탑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했다.

주위 사람들에게 “국보 1호는?”하고 물으면 즉각 숭례문이라는 답이 돌아온다. 그렇다면 국보 2호는? 선뜻 대답하지 못하는 이들이 부지기수다.




조카인 단종을 폐하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피부병으로 고생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병을 고치기 위해 금강산 진주담에 갔다가 그곳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게 되었다. 세조는 문수보살로부터 “조카에 대한 죄를 갚고 병을 고치기 위해서는 사찰을 지어야 한다”는 말을 듣고 한양으로 돌아와 원각사를 창건하였으며 이후 세조의 피부병도 호전되고 나라도 안정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유리 보호각 속의 원각사 터 십층석탑. 보기도 불편하고 어른거리고 비치는 현상으로 사진찍기도 힘들다.

 

탑신부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1층부터 3층까지는 평면이 기단과 동일한 아(亞)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4층부터 10층까지는 평면이 정사각형으로 일반 석탑의 경우와 같다. 3층까지는 몸돌과 지붕돌의 폭이 일정한 비율로 체감하다가 4층에서 급격하게 줄어든 후 다시 밋밋한 체감을 보인다. 몸돌 가장 넓은 면마다 부처님이 여러 보살과 제자를 거느리고 설법하는 장면이 섬세하고 화려하게 조각돼 있으며, 면이 꺾이는 모서리마다 둥근 기둥을 조각하였다.


▲떼었다 붙였다 파란 많았던 파고다 공원 출입문의 '삼일문' 현판.

떼었다 붙였다 파란 많았던 파고다 공원 출입문의 '삼일문' 현판.
 


원래 탑골공원 삼일문에는 광복 직후 서예가 김충현 씨가 쓴 현판이 걸려 있었다가 1967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현판을 달았다. 그러나 2001년 '3·1 운동의 발상지인 탑골공원에 일본군 장교 출신이 쓴 현판을 걸 수 없다'며 뜯어냈으며, 이에 서울시 종로구는 그동안 서울시 및 문화재청과 현판 재설치에 관해 협의하여 2003년 2월 가로 1.2m, 세로 0.9m로 기존 것과 동일한 크기의 현판을 새로 제작하여 달았다. 현판의 글씨체는 '삼'자와 '일'자는 독립 선언서의 글자를 그대로 사용했고 선언서에 없는 '문'자는 다른 글자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해 만들었다.


▲판박이처럼 닮은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은 국보 제86호이다. 국립중앙박물관 1층 실내에 있어 살펴보기 용이하다.

원각사 십층 석탑과 똑 같은 모습의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은 국보 제86호이다.
국립중앙박물관 1층 실내에 있어 살펴보기 용이하다.




[문화재방송 캠페인]문화재에는 우리 민족의 얼과 혼이 숨 쉬고 있습니다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은 애국심입니다."
주말이면 가족과 더불어 각종 문화재와 함께 하여 민족의 숨결을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