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취재. 촬영. 편집;문화재사랑
‘홍성결성농요’
홍성 결성농요는 1993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영예 최우수 대통령상을 수상했으며, 1996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군에서는 결성농요 보존과 전수를 위해 2015년 결성농요 공연장을 신축하였으며, (사)홍성결성농요보존회에서는 매주 수요일, 토요일 결성농요 전수를 위한 풍물교육을 실시하고, 매월 마지막 토요일에는 상설공연을 하는 등 농요의 전승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블로그 대문/ 국보 제135호 혜원풍속도 (蕙園風俗圖)
조선후기 화가인 혜원 신윤복(1758∼?)이 그린 <단오풍정>, <월하정인>등 연작
풍속화 30여점이 있는 화첩으로 가로 28㎝, 세로 35㎝이다. 아버지 신한평의 뒤를
이어 한때 도화서의 화원이었던 신윤복은 참신한 색채가 돋보이는 산수화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지만, 특히 풍속화에서 그만의 독특한 경지를 나타내고 있다.
풍속도는 주로 한량과 기녀를 중심으로 한 남녀간의 애정과 낭만,양반사회 풍류를
다루었는데, 가늘고섬세한 부드러운 필선과 아름다운 색채가 세련되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등장인물들을 갸름한 얼굴에 눈꼬리가 올라가게
표현함으로써 다소 선정적인 느낌이 들며, 인물들의 분위기를 살리기위해 주위의 배경을 사
실적으로 표현한 점이 돋보인다. 대부분의 작품에 짤막한 글과함께 낙관이있지만 연대를
밝히지 않아 그의 화풍의 변천과정은 알 수 없다.
이 화첩은 일본으로 유출되었던 것을 1930년 전형필이 구입해 새로 틀을 짜고 오세창이 발문을
쓴 것으로 미술작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18세기 말 당시 사회상의 일면을 보여 주는 것으로
복식사 연구에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 작품은 정부에서 국보 제135호로 지정, 현재 간송 미술관에서 보유하고 있다.
*야금모행(夜禁冒行) 심야에 금지된 비밀 나들이
*정변야화 (井邊夜話) 야심한 밤 우물가에서 수다를 떨다
*월야밀회 (月夜密會) 달이 뜬 야밤에 몰래한 만남
*월하정인(月下情人) 달 아래에서의 두 연인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중계]정선아리랑이 왜 세계무형유산일까?...강원도 아낙네들의 애절한 노래를 들어보자 (0) | 2018.08.11 |
---|---|
[동영상 중계]이미 사라진 노래, 그러나 꼭 다시 듣고픈 소리 '인천 아낙네들의 일노래와 소리' (0) | 2018.08.01 |
[동영상 중계]민속놀이 가운데 독특란 장르, 국가무형문화재 제90호 황해도평산소놀음굿 (0) | 2018.07.16 |
[동영상 중계]유네스코 인류 무형 유산 '임실필봉농악'의 진기 묘기 (0) | 2018.07.12 |
[동영상 중계]제4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대통령상 수상, 순창금과들소리(전북무형문화재 제32호) (0) | 2018.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