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문화유산 답사기

[문화유산 답사기]지리산 피아골의 단풍은 불타 오르고 문화재의 보고인 연곡사는 국화향이 그윽

문화재방송 2019. 11. 5. 04:41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이다. 545년(신라 진평왕 6) 연기조사가 창건했으며, 신라말부터 고려초에 이르기까지 선도량으로 유명했던 곳이다. 절의 이름은 연기조사가 처음 이곳에 왔을 때 큰 연못에서 제비 한 마리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 법당을 세운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복원되었으나, 1910년 고광순이 의병을 거느리고 이곳에서 왜군과 싸우는 과정에서 다시 불타버렸다. 그뒤 곧 중건했으나 6·25전쟁 때 다시 폐사되었으며, 오랫동안 사찰 내의 분규와 불편한 교통사정으로 인해 재건되지 못하다가 1965년 대웅전만 건립했다. 1981년 정부와 신도들의 지원을 받아서 구법당을 없애고 대신 그 자리에 앞면 5칸, 옆면 3칸의 대규모 대웅전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 뒤편에 있는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를 비롯하여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제154호)·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보물 제153호)가 남아 있고, 이 절과 좀 떨어진 곳에 구례 연곡사 3층석탑(보물 제151호)과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제152호) 등이 있다. 1967년 3층석탑을 해체·수리할 때 하층기단에서 동으로 만든 불입상 1구(동국대학교 박물관)가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사찰은 석가모니를 모신 대웅전, 아미타여래를 모신 극락전,

관세음보살을 모신 원통보전 등으로 분류되는데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모신 대적광전이어서

            특이하다.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마하바이로차나(Mahāvairocana), 노사나(盧舍那),

또는 대일여래(大日如來)라고도 한다. 모두 산스크리트어로 두루 빛을 비추는 존재로서

하느님이라는 의미이다. 이 부처는 우주만물의 창조신으로 여겨졌으며 인간을 비롯한

모든 우주만물이 이 부처에게서 탄생하였다고 여겨진다. 석가모니가 입멸 후 이 부처의

화신으로 여기고 있다.

 

 

 

 

    

                               

 국보 제53호 동부도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 탑이라면, 수행이 높았던 스님의 사리를 두는 곳이 승탑.

구성은 석탑과 비슷해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

동부도는 연곡사 모든 탑 중에서 그 중 형태가 가장 아름답고 우아한 작품이라는 전문가들의 평가.

 

동 승탑에서 북쪽으로 계단길을 따라 150m쯤 올라간 곳에 있는 북부도는 국보 제54호로 동부도와 함께

승탑의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는 걸작.

이 승탑은 네모난 바닥돌 위에 세워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팔각원당형 승탑. 

동 승탑를 본떠 건립한 것으로 보이는데, 크기와 형태는 거의 같고, 단지 세부적인

꾸밈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국보 제54호 북부도

                                            

 

 

 

 

 

보물 제151호 삼층석탑

 

 

 

보물 제152호 현각선사탑비

 

 

고려 전기의 승려 현각선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비몸돌이 없어져 현재는

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비를 받치고 있는 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두 눈과 큼직한 입이 웅장하며,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안상(眼象)과 꽃조각이 새겨져 있다.

받침돌 위에 놓여 있는 비의 머릿돌에는 여러 마리의 용이 서로 얽힌 모습이 조각되어 있는데,

긴밀하고 사실성이 두드러집니다. 앞면의 가운데에는 탑이름이 새겨져 있어, 현각선사의

탑비임을 알수 있다.

이 비는 고려 경종 4년(979)에 만들어졌다
.

 

 

보물 제153호 동부도비

 

고려시대의 석비로 비신은 임진왜란 때 없어지고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인 귀부와 용의 형체를 새겨 장식한 비석의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 있다.

 

보물 제154호 소요대사탑

   

이 탑은 연곡사 서쪽에 있으며, 소요대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그 아래에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으며,

각 부분이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은 3단으로 나누어 각 단마다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그 위로 탑신을 받치도록 두툼한 괴임을 둔 점이 독특하다.

 

 

 

 


블로그 대문/전 세계가 11월 11일 11시 부산을 향해 1분간 묵념


대한민국이 탄생하기까지는  무수한 순국선열의 피 이외에도 많은 이의 희생이 있었다.

미국·캐나다·영국 등 21개국 젊은이 195만7616명이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대한민국이

백척간두 위기에 처했을 때 한국으로 달려왔다.

그중 무려 3만5000명 이상이 사망했고, 10만명 넘게 부상했다.

이름조차 처음 듣는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해 이들이 아낌없이 젊음을 바쳤기에 오늘과 같은

자유 대한이 존립할 수 있었다. 물론 무수한 우리 국군 용사의 희생이 더 큰 힘이 됐지만 말이다.




당시 희생된 외국 병사들이 부산시 남구 'UN기념공원'에 잠들어 있다.

휴전협정이 조인될 무렵에는 1만여 위(位)였으나 차츰 본국으로 이장해 가 지금은 2300여 위가 남았다.

'UN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UN군 묘지이자, UN에서 지정한 유일의 성지(聖地)이다.

캐나다의 6·25 참전용사 빈센트 커트니(87)씨는 1951년 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연합 3개 대대가, 

 밀려 내려오는 중공군을 막아낸 '가평전투'에 참전했던 사람이다.

그가 2007년 매년 11월 11일을 기해 전 세계의 6·25 참전 군인과 유족들에게

'부산을 향하여 1분간 묵념하자'고 제안했다


나라마다 시차가 있는 점을 감안해 부산 시각에 맞추기로 했고,

그해 11월 11일 밤 9시 캐나다 오타와에서 참전 군인 100여 명이 모여 머리를 숙였다.

이렇게 첫해 4개 나라가 참여했고, 2012년부터는 미국도 동참하고 있다.

11일(월) 오전 11시에도 세계인이 부산 유엔기념공원을 향해 묵 념하는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 행사가 대규모로 열린다.

국가보훈처는 이날 부산 전역에서 사이렌을 울려 산화한 참전용사들의 헌신을 기린다.

그 어느 때보다 북핵과 미군 철수론이 대두되는 이 시점에 온 국민이 하나 되어

그날 그 시각에 부산 쪽을 향해 고개 숙이고 대한민국의 국운 융성과

UN군 전사자의 명복을 비는 묵념을 올리기를 제안한다.


 '6.25 한국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국군과 유엔군 전몰장병을 추모하는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 행사를 기념하는

'2019 평화물결 공연'이 오는 11일 오후 7시 30분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웃어야 건강, 건강해야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