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동영상

[동영상 중계...국가무형문화재 '좌수영 어방놀이' 재현]병사들과 어민이 협동으로 멸치 잡아

문화재방송 2018. 5. 10. 07:01

기획. 취재. 촬영. 편집.내레이션;문화재사랑 김종문





좌수영어방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는 수영만(水營灣) 앞바다에서 고기잡이를 했던 일련의 어로 행위와 그에 따르는 민요를 재현한 놀이이다. 수영만은 1592년(선조 25)부터 근 300년 동안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곳으로 현재의 수영동, 망미동, 민락동, 광안동, 남천동 일대를 아우르는 지역이다. 경상좌수영의 어방은 수영의 민간인과 수군들이 서로 상조하는 어업 협업체로, 수군들은 조선 및 항해술과 노동력을 제공하고 어민은 수군의 부식으로 어획물을 제공했다.

이곳의 어부들은 가후리[지인망(地引網): 물가에 긴 그물을 둘러쳐서 양 끝에 줄을 연결하여 육지에서 끌어당겨 어획하는 어구]로 멸치잡이를 했는데, 배에 그물을 싣고 가면서 해안에서부터 반원형으로 고기떼를 둘러싸고 양쪽 벼릿줄을 육지에서 끌어당겨서 고기를 잡는 방법이다. 후릿그물을 잡아당기는 일은 힘들고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추어야 하므로 사람들은 작업의 고단함을 덜기 위해 어로요(漁撈謠)를 불렀다.

6·25 전쟁 이후 수영 일대가 도시화되면서 더 이상 멸치잡이 후리질을 하지 않게 되자, 소중한 전통 문화가 사라지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 수영 사람들이 이를 보존하고 전승하려는 목적으로 연희화하여 ‘
좌수영어방놀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블로그 대문 / 국보 제323호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은진미륵(恩津彌勒)’으로 알려진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은 고려 광종(光宗, 재위 949~975)의 명으로 승려 조각장 혜명(慧明)이 주도하여 제작하였으며, 고려왕실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당대 뛰어난 조각장의 솜씨를 빌려 탄생한 작품이다. 파격적이고 대범한 미적 감각을 담고 있고 우리나라 불교신앙과 조각사에 있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 인정되어 국보로 지정되었다.


  * 미륵보살(彌勒菩薩): 석가에 이어 미래에 출현하는 부처. 우리나라에서는 미륵신앙이 현세를 구원하는 희망의 신앙으로 수용되어 폭넓게 유행함




[문화재방송 캠페인]
문화재에는 우리 민족의 얼과 혼이 숨 쉬고 있습니다.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은 애국심입니다."
휴일이면 가족과 더불어 각종 문화재와 함께 하여 민족의 숨결을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