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나의 이야기

[6월 6일 현충일]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유 대한을 수호하기 위해 순국하신 영령들께 묵념 !

문화재방송 2019. 6. 5. 15:18

블로그 대문/ 6월  6일  현충일 [顯忠]





현충일의 유래

 

현충일은 24절기 중 9번째 절기인 망종(6월 6일)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망종은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날로 보리가 익고 모내기를 시작하는 날에서

그 기원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고려시대에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군인들을

대상으로 제사를 올렸는데 날짜가 6월 6일이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나라를 되찾기 위해 의병이 된 여인 윤희순

 

춘천 시립도서관 뜰에는 눈에 띄는 여인의 동상이 있는데, 한복을 입고 쪽진 머리를 한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여인인 듯하나, 한 손에는 책을 들고 다른 손은 앞으로 뻗어 사람들을 이끄는 모습이 여느 대장부 못지않은 기상을 뽐낸다.
그녀의 이름은 윤희순. 일제의 침략에 맞선 여성 최초의 의병장이다. 그녀의 의병 활동은 시집와서 살았던 춘천시 남면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화서학파의 학통을 계승한 그녀의 시댁은 위정척사 사상을 잇고 있었으며, 시아버지 유홍석은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계기로 의병 활동을 시작했다.
윤희순은 시아버지와 남편의 의병 활동을 돕는 것에 그치지않고 의병가와 경고문을 만들어 여성들도 적극적으로 의병 활동에 나설 것을 독려했다. 더 이상 국내에서 의병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자 시아버지와 함께 세 아들을 데리고 중국으로 건너가 항일운동을 이어갔으며, 조선인 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하는 데도 힘을 썼다. 이후 한국에 돌아오지 못하고 중국에서 숨을 거두었는데, 1994년 고국으로 봉환되어 가족 묘역에 안장됐다.
그녀가 시집와서 살았던 곳에는 생전의 활동을 기록한 의적비와 그녀가 지은 최초의 한글 의병가인 ‘안사람 의병가’ 노래비가 들어서 있다. 나라가 위험에 처했는데, 여자라는 이유로 물러서 있기만 해서는 안 된다며 꾸짖는 그녀의 기개가 지금까지 전해지는 듯하다.

 

 

 

 

 

대한 독립과 결혼한 만석꾼 딸, 그가 남긴 건 수저 한 벌

도쿄 유학 중 3·1독립운동 참가
임정 첫 여성 의원, 1944년에 숨져
3·1절 맞아 추모 음악회 열려

지난해 영화 ‘암살’을 통해 일제강점기 여성 독립운동가의 활약상이 알려지기는 했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여성 독립운동사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대개 유관순(1902~20) 열사를 언급하는 정도다.

 
기사 이미지

‘한국의 잔다르크’로 불리며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했다”고 했던 김마리아.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3·1절을 맞아 여성 독립운동가 김마리아(1892~1944) 선생을 추모하는 음악회가 열렸다. 제목부터가 ‘당신을 잊지 않았습니다’다. ‘한국의 잔다르크’라고까지 불리며 3·1 운동의 한 불씨 역할을 했던 김마리아를 재조명하는 자리다.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와 이화여대 음악연구소가 공동 주최해, 3월 3일 오후 7시30분 이화여대 음악관 김영의홀에서 열렸다. 김마리아를 기리는 노래 ‘님이여 어서 오소서’(이건용 작곡·홍준철 작사)가 초연될 예정이다.

황해도 장연군 소래마을의 만석꾼 집안에서 셋째 딸로 태어난 김마리아는 서울 정신여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여자학원에 유학 중 1919년 2·8독립선언에 참가했다.

2·8 독립선언서 10여 장을 미농지에 복사해 평생 한 번 입은 기모노 띠 속에 감추고 2월 15일 부산항으로 입국해 광주·대구·서울을 거쳐 황해도까지 독립선언문을 운반했다. 이렇게 3·1 독립운동에 참여한 선생은 3월 6일 체포됐다.

 

기사 이미지

한말 최초의 여성 의병장인 윤희순(左),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右).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엘리트 신여성’으로 편안한 길을 마다하고 독립운동에 나선 그의 삶은 고난의 연속이다. 체포와 투옥을 거듭하면서 교육과 독립운동에 매진했다. 전국적 규모의 첫 여성독립운동 단체인 ‘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조직해 활동을 계속했고, 몸이 극도로 쇠약해져 치료를 받다가 극적으로 병원을 탈출해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김구 선생과 함께 황해도 의원으로 당선돼 활동하기도 했다. 첫 여성 의원이었다. 이어 다시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공소시효가 끝난 1933년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독립을 한 해 앞둔 44년 3월 13일 53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그의 유품은 수저 한 벌이 전부로 현재 정신여고 ‘김마리아관’에 보관돼 있다.

이송죽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 실행이사는 “고문 후유증으로 일생을 고생하고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했다’고 하면서 혼신의 힘을 바친 한국 독립운동의 대모 같은 분”이라며 “여성교육의 선구자이자 김마리아 선생의 집안을 빼고는 한국 독립운동을 얘기할 수 없을 정도인데도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추모 음악회라도 열리는 김마리아는 그나마 ‘괜찮은 처지’라고 해야 할까. 현재까지 알려진 전체 독립유공자 1만4300여 명 중 여성 독립운동가는 272명으로 전체의 3%도 안 된다.

 
기사 이미지

날아다니는 여자 장군이란 별명을 가졌던 남자현(左), 의열단을 이끈 김원봉의 아내이자 동지 박차정(右).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심옥주 소장은 “국민들의 관심도 적고 연구자들의 관심도 이어지지 않아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발굴과 조사가 제대로 안 되었다”며 “여성 독립운동가의 수가 본래 그렇게 적은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심 소장은 “그나마 지난해 영화 ‘암살’에서 독립운동가 남자현(1872~1933) 역을 맡은 배우 전지현이 전투적인 여전사의 모습을 새롭게 보여주면서 그 이후 여성 독립운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어 다행”이라고 덧붙였다.

심 소장은 “한말 최초의 여성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 윤희순(1860~1935),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1862~1927), 의열단을 이끈 김원봉의 부인으로 총을 들고 전투에 참여한 박차정(1910~44) 여사 등 새롭게 조명할 여성 독립운동의 역사가 많다”며 “여성 독립운동을 재조명하는 일은 한국 어머니의 역할을 바로 세우는 일이다. 97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때 어머니들이 금 모으기에 적극 나섰던 것은 우연이 아니라 그 같은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여성 독립운동가를 다룬 책으로는 『조국과 여성을 비춘 불멸의 별 김마리아』(김영란 지음), 『당신이 알아야 할 한국사 10:인물편』(서경덕·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지음), 『조선의 딸, 총을 들다』(정운현 지음) 등이 나와 있다.

배영대 문화선임기자
balance@joongang.co.kr
  출처: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19653042?cloc=joongang|home|subtop



선조들의 숨결어린 문화재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은 애국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