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동영상

[동영상 중계]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 강강수월래(‘强羌水越來), 이순신 장군이 강강술래를 이용, 왜병을 물리치다.

문화재방송 2022. 9. 9. 00:19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국가무형문화재 제8호'강강술래'

 

196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로 해남·완도·무안·진도 등 전라남도 해안일대에서 성행되어왔다.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의 놀이로 주로 추석날밤에 행하여지며 정월대보름날밤에 하기도 한다. 명칭은 ‘강강수월래’ 또는 한자로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로 표기하는 일도 있으나 ‘강강술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진양조로 느리게 노래를 부를 때는 ‘강강수월래’로 길게 발음된다. 기원에 대하여는 여러 설이 전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이순신(李舜臣)과 관련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해남 우수영에 진을 치고 있을 때, 적군에 비하여 아군의 수가 매우 적었다. 그래서 이순신은 마을 부녀자들을 모아 남자차림을 하게 하고, 옥매산(玉埋山) 허리를 빙빙 돌도록 했다.

 

바다에서 옥매산의 진영을 바라본 왜병은 이순신의 군사가 한없이 계속해서 행군하는 것으로 알고, 미리 겁을 먹고 달아났다고 한다. 이런 일이 있은 뒤로 근처의 마을 부녀자들이 서로 손을 잡고 빙빙 돌면서 춤을 추던 관행이 강강술래로 정착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강강술래>의 기원은 이순신의 창안에서 비롯된다는 주장이 있다.

 

한자로는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라고 표기하고,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온다.’는 해석은 바로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강강술래>는 원시시대의 부족이 달밤에 축제를 벌여 노래하고 춤추던 유습(풍습)에서 비롯된 민속놀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고대로부터 우리 나라 사람들은 달의 운행원리에 맞추어 자연의 흐름을 파악하였고, 따라서 우리 나라 세시풍속에서 보름달이 차지하는 위치는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즉, 달이 가장 밝은 추석날이나 정월대보름날이면 고대인들은 축제를 벌여 춤과 노래를 즐겼고, 이것이 정형화되어 <강강술래>로 전승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전승된 <강강술래>를 이순신이 의병술(擬兵術)로 채택하여 승리를 거둠으로써 널리 보급되고 더욱 큰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놀이의 진행과정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추석이 가까워지면 소녀들에 의하여 <강강술래>가 시작된다. 이른바 ‘아기 강강술래’이다. 소녀들이 수명 또는 10여명이 모여 손과 손을 잡고 마당에 원을 그리면서 빙빙 돌며 노래하고 춤을 춘다.

 

○진양조

(선창) (후렴)

술래술래 강강술래 강강술래

술래좋다 강강술래 강강술래

달떠온다 달떠온다 강강술래

동해동창 달떠온다 강강술래

팔월이라 한가위날 강강술래

술래술래 강강술래 강강술래

각시님네 놀음이라 강강술래

(중략)

○중모리·중중모리

오동추야 달은밝고 강강술래

우리임생각 절로난다 강강술래

임아임아 노이나마라 강강술래

너줄라고 해온보신 강강술래

너안주고 누구를줄까 강강술래

(중략)

○자진모리

술래술래 강강술래 강강술래

강강좋다 술래돈다 강강술래

앞에가는 군사들아 강강술래

발맞춰서 뛰어가세 강강술래

곁에사람 보기좋게 강강술래

먼데사람 듣기좋게 강강술래

억신억신 뛰어가세 강강술래

(하략)

 

 달맞이

한가위날 저녁에 달맞이를 하기 위해 초저녁 달이 뜨기 전에 산이나 동산 등 높은 곳으로 올라간다.

이때 꽹과리·징·북 등 갖가지 악기를 동반한 농악패가 함께 올라간다. 보름달이 떠오르는 순간 농악대 중 상쇠가

악기를 울리면 달맞이하러 나온 사람들이 모두 머리를 숙이고 마음 속으로 소망을 빈다.

 

부녀자들의 놀이로 노래와 무용이 혼합되어 있으며, 주로 추석날 밤과 정월대보름날 밤에 행해진다. ‘강강수월래’ 또는 한자로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로 표기하기도 하나 ‘강강술래’가 일반적이다.

 

강강술래는 처음에는 긴중모리 장단으로 시작하여 굿거리로, 끝에 가서는 자진모리로 빨라지면서 춤은 고조되어 뛰면서 돌아간다. 공연을 보게 되면 관중도 절로 신이 나서 하나가 되어 후렴 '강강술래'를 떼창하게 된다.

강강술래 기념탑에는 그 유래와 강강술래 노랫말이 잘 기록되어 있다.

경북 영해에 있는 영덕 월월이청청 전수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여성들의 집단적 가무놀이에는 3개가 있는 데,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강강술래과 안동 놋다리밟기 그리고 영덕 월월이청청이 그러하다

 

영덕 월월이청청은 매마다 영덕해맞이 축제, 복사꽃 잔치등에서 행사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여러 타지역에서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남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 중턱에 자리한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은 13세기에 만들어진 세계기록유산인 고려 대장경판 8만여 장을 봉안하기 위해 지어진 목판 보관용 건축물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다.

 

15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은 두 개의 긴 중심 건물 사이에 작은 두 개의 건물이 하나의 마당을 가운데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있다. 이들 건물은 간결한 방식으로 만들어 판전으로서 필요한 기능만을 충족시켰을 뿐 장식적 의장을 하지 않았다. 통풍의 원활, 방습의 효과, 실내 적정 온도의 유지, 판가의 진열 장치 등이 매우 과학적인 점은 대장경판이 지금까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이유 중의 하나로 거론된다.

 

보존 가치가 매우 큰 대장경판, 고려각판 등이 보존되어 있는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은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사진. 김홍기

 

중국 운남성 홍토지의 신비

중국 남부지방인 운남성의 동천(東川)은 아름다운 홍토지(紅土地)로 유명하다.

이곳의 흙이 이렇게 붉은 까닭은 흙속에 함유된 철분이 산화를 거쳐서

오랜세월동안 침착되어서 이렇게 붉은 색채를 띄게 되었다.

 

지구상에서 이렇게 아름다운 붉은흙이 있는 곳은

"유우니 소금사막"으로 유명한 볼리비아의 붉은해안(Red coast)이 있다.

 

볼리비아의 붉은해안 역시 눈부시게 아름답지만 동천 홍토지처럼 밭으로 경작하지 못하는

바닷가여서 동천 홍토지처럼 다양한 아름다움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동천 홍토지는 운남의 수도 쿤밍에서 서남쪽으로 약 40km 지점에 있는 신전향(新田鄕)에 있다.

이곳은 화석두(花石頭)라고도 불리는데 오몽산 지구에 속하는 고원지대여서

크고 작은 구릉지가 끝없이 이어진다.

 

강우량이 많고 따뜻하여 농작물이 잘 자라 경사가 진 산비탈도 모두 개간하여 밭농사를 짓는다.

그러므로 붉은흙이 드러난 곳과 다양한 작물이 자라는 곳의 색채대비가 뛰어나고

강열한 태양 아래서의 변화가 무궁하므로 사진작가들이 일년내내 찾아든다.

 

 


#1 순천 선암사 일주문(仙岩寺 一柱門)

조계산 선암사는 백제 성왕 7년(529)에 처음 지어졌다고 전한다. 입구에 세워져 속세와 불계의 경계 역할을 하는 일주문은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인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를 여러 개 둔 다포식 건물로, 기둥 위에는 용머리를 조각해 위엄을 더했다. 임진(1592), 병자(1636) 양난의 전화를 입지 않아 조선시대 일주문의 양식을 잘 보전하고 있다.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문의 : 순천시 문화예술과 061-749-6813

 

#2 여수 석인(麗水 石人)

국보 여수 진남관 뜰 안에 서 있는 돌로 만든 사람 모습이다. 여수는 임진왜란 때 해전의 격전지로 전라좌수영이 있던 곳에 관련 유적이 많이 남아 있는데, 이 역시 그중 하나이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전선(戰船) 건조로 바쁠 때 왜구의 공격이 심하자 적의 눈을 속이기 위해 7개의 석인을 만들어 사람처럼 세워 놓았다고 한다. 현재는 하나만 남아 있다.

소재지 : 전남 여수시 동문로 11(군자동)
문의 : 여수시 문화예술과 061-659-4756


 

#3 구례 화엄사 보제루(華嚴寺 普濟樓)

화엄사는 통일신라 경덕왕(재위 742~765) 때 승려 연기가 처음 지은 절이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 승려 각성이 다시 지은 17세기 이후의 것이다. 보제루는 승려들의 집회를 목적으로 지어진 강당 건물로 대웅전 앞의 한 단 낮은 터에 위치하고 있다. 대웅전 쪽 창문은 7칸 모두 큰 두 짝의 빗살문이 달려 있고, 그 반대쪽 창문 5칸은 널빤지 문을 달았다.

소재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문의 : 구례군 문화관광실 061-780-2432

 

#4 진도홍주(珍島紅酒)

진도홍주는 고려 때 중국 원나라에서 들여왔다는 소주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원래 소주는 조정(朝廷)에서만 사용했으나 차츰 대중화되어 지방마다 특색 있는 토속 명주로 발전했다. 진도홍주의 특징적인 재료는 지초(芝草)이며, 도수는 알코올 40% 이상이다. 현재 1993년 창립한 진도전통홍주보존회에서 보존, 개발, 산업화하고 있다.

소재지 : 전남 진도군
문의 : 진도군 관광문화과 061-540-3428

 

#5 곡성 서산사 목조 관음보살좌상(谷城 西山寺 木造 觀音菩薩坐像)

원통전에 보관되어 있으며, 원래 제작처는 성덕산 관음사의 대은암(大隱庵)이고 숙종 32년(1706)에 조성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화마를 피해 서산사로 옮겨 모셔진 것으로 추정된다. 발원문을 비롯한 복장물을 통해 조성 동기, 봉안처, 조성 시기, 조각승, 시주자 등 거의 모든 사항을 알 수 있어 18세기 초반 불교 조각사를 이해하는 데 아주 귀중한 사례이다.

소재지 : 전남 곡성군 교촌길 71
문의 : 곡성군 관광문화과 061-360-8349

 

#6 강진 구곡사 소장 익재 이제현상과 백사 이항복상(龜谷祠 所藏 益齋 李齊賢像과 白沙 李恒福像)

이제현(1287~1367) 선생은 고려 공민왕 때의 문신이자 학자이고, 이항복(1556~1618) 선생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당시 크게 활약한 공신이기도 하다. 이제현 선생의 초상화는 고려시대 초상화의 한 유형을, 이항복 선생의 초상화는 조선 중기 공신 초상화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 두 영정 모두 18세기 이후 당대의 원본을 충실히 옮겨 그린 것이다.

소재지 : 전남 강진군 대구면 구곡길 31
문의 : 강진군 문화관광과 061-430-3323


 

#7 나주 쌍계정(羅州 雙溪亭)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 문정공 정가신이 세웠다고 전하는 정자이다. 문정공이 이곳에서 김주정, 윤보와 더불어 학문과 인격을 갈고 닦아 ‘삼현당’으로 불리기도 했다. 조선 세조(재위 1455~1468) 때는 정서, 신숙주 등의 학자들이 학문 연구 장소로 사용했다. 정자 좌우로 계곡이 흐르고 주변의 오래된 나무가 풍치 있게 어울려 조선시대 대표적 정자로 손 꼽힌다.

소재지 :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251
문의 : 나주시 역사관광과 061-339-8615, 2537

 

#8 담양 용흥사 부도군(龍興寺 浮屠群)

부도란 승려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용흥사 입구 왼쪽에 자리잡은 부도군에는 7기의 부도가 나란히 서 있다. 모두 바닥 돌 위로 3단을 이루는 기단(基壇)을 두고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 장식을 얹은 비슷한 형식이다. 대체로 조선 중기 이후인 17~18세기에 걸쳐 세운 것으로 만든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어 더욱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소재지 : 전남 담양군 용흥사길 442
문의 : 담양군 문화관광과 061-380-3155~7

 

#9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長興 新興寺 所藏 井方寺銘 銅鐘)

단아한 몸체와 정교한 문양, 아름다운 용뉴(龍鈕)의 표현 등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는 보기 드물게 좋은 작품이다. 영조 27년(1751)에 제작되었지만 고려시대 걸작인 보물 탑산사명 동종과 상당한 친연성(親緣性)이 느껴진다. 작품으로서의 가치 외에도 주조 시기, 관련 인물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어 종장의 연구 등 한국 금속공예 연구 자료로서도 가치를 지닌다.

소재지 : 전남 장흥군 장흥읍 연산리 89-8번지 신흥사
문의 : 장흥군 문화관광과 061-860-0228

 

#10 영광 설매리 석조불두상(靈光 雪梅里 石造佛頭像)

바위 위에 불상 머리만 조각해 올려놓은 특이한 형태의 불상으로 영광군 군남면 설매리 서고마을의 서북쪽 미륵골에 자리해 있다. 뒷면은 평면적으로 처리했으나 앞면의 조각 솜씨는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다. 전체 높이가 190cm에 달하며, 네모나고 다소 넓은 얼굴에 명상에 잠긴 듯한 눈을 하고 있어 근엄하고 장중한 느낌을 준다.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로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소재지: 전남 영광군 군남면 설매리 산59-3
문의 : 영광군 문화관광과 061-350-5225~6




정리. 편집실 자료, 사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관광공사 김지호, 나주시청 역사관광과

 

고마우신 블벗님, 제가 운영하는 '문화재 방송국'도 돌아 보시지요.

<아래를 클릭하시면 문화재방송으로 직접 가실 수 있습니다>

특히

'기타 문화재' /

'역사 기행'/

'영상문화'를
깊숙히 검색하시면 만족할만한 내용들이...

 

방송국 주소

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문화재방송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문화재방송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기타 문화재] > 최신게시물 제목 : ★대한민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섬 33개★ 미국 CNN 산하 CNN GO에서 선정     미국 CNN 산하 CNN GO에서 2012년 8월 2일 선정 ★대

www.tntv.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