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동영상 422

[동영상 중계]북한 함경남도를 대표하는 민속놀이, 그 어느 탈춤과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한 장르의 '북청사자놀음'

기획. 취재. 촬영. 편집:문화재사랑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북청사자놀음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던 사자놀이. 북청군 중에서도 북청읍의 사자계(獅子契), 가회면의 학계(學契), 구 양천면의 영락계(英樂契) 등의 사자놀음이 유명하며 도청(都廳)을 중심으로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놀아왔다. 6·25전쟁 뒤 월남한 연희자들에 의하여 현재는 서울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데 청해면 토성리의 사자놀이는 관원놀음과 합쳐져서 행해지므로 더욱 유명했는데, 토성리는 조선 태조 때의 공신 이지란(李之蘭)의 고지(故地)로 흙에 띠를 입히고 가장자리에 큰 나무를 심은 토성(土城)과 제단터가 남아 있다. <북청사자놀음>은 삼국시대의 기악(伎樂)·무악(舞樂) 이래 민속놀이로 정착된 가면놀이로, 주로 대륙계·북방계인 사자..

동영상 2020.08.01

[동영상 중계]대통령상 수상에 빛나는 문화재(8)제4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금과 들소리'

「금과 들소리」는 500여 년 전부터 순창군 금과면 매우리 매우 마을을 중심으로 동전, 대장 들녘에서 불리던 농업 노동요이다. 그러나 196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기계화 영농으로 인하여 점차 잊혀져가고 있었다. 순창 농요 금과 들소리 보존회에서 우리 민족의 삶과 애환이 서린 「금과 들소리」를 원형 그대로 계승하여 보존해 오고 있다. 「금과 들소리」는 2005년 3월 11일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금과 들소리」는 사라져 가는 지역의 전승 농요를 채록·발굴하여 1997년부터 이 지역 노인들이 다시 부르는 노랫소리다. 농사를 지으면서 들소리를 불렀던 경험이 있는 금과 노인회의 노인들을 중심으로 금과 들소리 발굴단[회장 김영조, 당시 75세]을 구성하여 1997년 완벽히 복원하게 되었다...

동영상 2020.07.23

[동영상 중계]대통령상 수상에 빛나는 문화재(7)제5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금릉빗내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제11-7호-: 금릉빗내농악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개령면(開寧面) 광천동(廣川洞)에 전승되어 온 농악, 2019년 9월에 지정되었다. 개령면은 금릉군 지역이며 삼한시대에는 감문국(甘文國)이라는 부족국가가 있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빗내’는 광천동의 자연 부락 이름이다. 곡창지대의 전형적인 농촌인 빗내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초엿새에 동제(洞祭: 빗신굿)를 열었고 이어서 풍물놀이와 줄다리기를 행하였다. 이러한 마을 축제 및 감문국의 국가 행사 때 쳐왔을 매구가 오늘날의 빗내농악으로 전해 온다고 볼 수 있다. 낮은 지대라 수해가 빈번하였던 탓에 자연 재해에서 벗어나고 마을의 안녕을 위해 빗신(神)굿을 격년제로 열었고, 일제시대 이후엔 10년 간격으로 행하였다. 빗내농악은 단순한 농악이 아니..

동영상 2020.07.15

[동영상 중계]이제는 보기 힘든 '도리깨질 소리' '물레질 소리''삼삼기 소리''베틀가' 등이 전승되는 경상남도 고성농요(固城農謠)

고성농요(固城農謠):국가무형문화재 제84-가호 국가무형문화재 제84-가호. 고성지역에서는 예로부터 농군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여러가지 소리를 불렀고, 아낙네들은 길쌈하면서 길쌈소리를 많이 부르기로 유명하였다. 전하는 이야기로는 조선 말기에 통영으로 가던 경상감사가 고성을 지나다가 농군들의 모심기소리에 도취되어 상을 내리고 떠났다고 한다. 1970년대에 고성읍내 농군들이 농사짓기소리와 길쌈하기소리를 엮어서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연하여 입상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1998년 현재 예능보유자로 유영례(柳永禮, 앞소리)·김석명(金石明)이 지정되어 있다. 고성농요에는 모찌는 소리로 긴등지·짜른등지, 모심는 소리로 긴등지·점심등지·짜른등지·해걸음등지, 김매기소리로 상사디야·방아타령·..

동영상 2020.07.06

[동영상 다큐:호국보훈의 달 특집]호국의 현장을 찾아(끝)세계를 정복한 몽골군과 끝까지 싸운 '삼별초'의 숨결 따라

기획. 취재. 촬영. 편집. 내레이션:문화재사랑 [박보균의 현장 속으로] 신미양요 때 강화도 상륙·침공한 미 해병…6·25 땐 인천 상륙, 서울 구출했다 [중앙선데이] 입력 2020.06.20 00:02 수정 2020.06.20 00:11 | 박보균 기자 리더십의 결정적 순간들-6·25 70주년, 파란곡절 한·미 역사 색다른 이야기 콴티코 해병대 박물관의 신미양요 전시실. 그림 제목 ‘Storming Fort Chojijin’ (초지진 돌격). 1871년 6월 강화도에 상륙하는 미 해병대. 웃통을 벗은 사병들이 밧줄로 대포를 끌고 있다. 12파운드 달그렌 보트 곡사포(왼쪽)가 그림 속 대포의 실물. 한·미 역사는 파란이다. 곡절의 150여 년. 긴박한 애증(愛憎)의 드라마다. 한복판에 미국 해병대(U.S..

동영상 2020.06.25

[동영상 다큐:<4>138년만의 재현 '광성보 전투'...신미양요 때 강화도 상륙·침공한 미 해병…6·25 땐 인천 상륙, 서울 구출했다

기획. 취재. 촬영. 편집:문화재사랑 / 내레이션 한송이 [박보균의 현장 속으로] 신미양요 때 강화도 상륙·침공한 미 해병…6·25 땐 인천 상륙, 서울 구출했다 [중앙선데이] 입력 2020.06.20 00:02 수정 2020.06.20 00:11 | 박보균 기자 리더십의 결정적 순간들-6·25 70주년, 파란곡절 한·미 역사 색다른 이야기 콴티코 해병대 박물관의 신미양요 전시실. 그림 제목 ‘Storming Fort Chojijin’ (초지진 돌격). 1871년 6월 강화도에 상륙하는 미 해병대. 웃통을 벗은 사병들이 밧줄로 대포를 끌고 있다. 12파운드 달그렌 보트 곡사포(왼쪽)가 그림 속 대포의 실물. 한·미 역사는 파란이다. 곡절의 150여 년. 긴박한 애증(愛憎)의 드라마다. 한복판에 미국 해병..

동영상 2020.06.21

[동영상 르포:호국보훈의 달 특집]호국의 현장을 찾아<3>'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현장을 가다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3·1 운동 이후 무장 독립 전쟁을 벌이는 것이 독립의 지름길이라는 생각이 널리 퍼지는 가운데, 만주 일대에서는 서로 군정서, 북로 군정서, 대한 독립군, 광복군 총영 등 50여 개의 크고 작은 독립군 부대들이 조직되었다. 독립군 부대들이 국내 진공 작전을 전개하자, 1920년 일본군은 두만강을 건너 독립군을 공격해 왔다.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과 최진동의 군무 도독부, 안무의 국민회군 등은 일본군을 봉오동 골짜기로 유인하여 무찔렀다(봉오동 전투). 이에 일제는 1920년 8월 훈춘 사건을 조작하고, 이를 구실로 약 2만 명의 대병력을 동원하여 만주의 독립군 근거지를 공격하였다. 북로 군정서와 대한 독립군을 비롯한 독립군 부대들은 이를 피해 백두산 부근으로 이동하다 추격해 온 일..

동영상 2020.06.16

[동영상 다큐 :호국보훈의 달 특집]호국의 현장을 찾아<2>...강화도 진. 보. 돈대

기획. 취재. 촬영. 편집. 내레이션:문화재사랑 용두돈대는 강화해협을 지키던 천연 요새로서 손돌몯돈대에 속해있는 외곽 초소겸 포대이다. 고종 8년(1871) 포대가 설치되면서 정비된 곳으로 1977년 강화 전적지 정화보수사업을 하면서 용두돈대라고 부르게 되었다. 병인 신미양요 때 치열한 포격전이 벌어졌던 현자이며, 1977년 성벽을 복원하면서 강화 전적지 정화기념비를 서웠다. 용두돈대에서 동영상을 살포시 ㅋㅋㅋㅋ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물결이 너무나 아름다웠습니다. 말을 안듣는 동생녀셕한테 한방 날려주고싶네요 ㅋㅋㅋㅋ 물살이 얼마나 거셀지 상상이 되시나요?? 다시 길을 재촉해서 가는중 ㅋㅋㅋ 용두돈대 사이로 손을 넣어보니 정말 시원한 바람이.... 이 안에 손을 넣어보면 마치 에어컨을 틀어논듯한 시원함을 ..

동영상 2020.06.11

[동영상 다큐:호국보훈의 달 특집]호국의 현장을 찾아< 1 > '사적 제225호 강화도 초지진'에 올라

이전 다음 [역사를 지켜낸 경기도 산성을 가다] 39. 강화도 초지진 김영호 webmaster@kyeonggi.com 온몸으로 외세침략 저항 조선의 자존심을 지키다 인천 앞바다에서 한강을 통해 수도 한양으로 들어가는 첫 관문인 강화도 초지진 전경.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당시의 화포가 전시돼 있다. 김포에서 초지대교를 건너면 만나는 강화도 초지진. 초지진은 150여 년 전 조선의 최전선이었다. 인천 앞바다에서 한강을 통해 수도 한양으로 들어가는 첫 관문이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초지진은 서양열강의 침략을 한 번도 비껴갈 수 없었다. 1866년 병인양요 때는 강화성을 점령한 프랑스 군대를 물리친 양헌수 부대가 도하했던 곳이며 1871년 신미양요 때는 낡은 화승총으로 첨단의 레밍턴 소총과 박격포로 무장한 미 ..

동영상 2020.06.06

[동영상 중계]대통령상 수상 문화재 시리즈(6)제2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수상 '예천통명농요'

예천통명농요(醴泉通明農謠-국가무형문화재 제84-나호)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에 전승되고 있는 토속민요. 모심기할 때 부르는 <아부레이 수나>와, 모를 다 심고 논에서 나오면서 부르는 <도움소소리>가 있고, 논을 맬 때 부르는 <애벌매기소리>와 <상사듸여>, 그리고 논을 다 매고 나오면서 부르는 <방애소리>·<에이용소리>가 있다. 또, 논매기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부르는 <캥마쿵쿵노세>와 타작할 때 부르는 <봉헤이>가 있고, 부녀자들이 부르는 <삼삼기노래>·<베틀노래>·<도해따기>등이 전승되고 있다. 통명농요는 1979년 제2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1985년 11월 고성농요(固城農謠)와 함께 국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동영상 2020.05.23

[동영상 중계]대통령상 수상 문화재 시리즈(5)제2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이리농악'

기획. 취재. 촬영. 편집:문화재사랑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 이리농악 익산시 새실마을에서는 예로부터 마을농악이 성하게 전승되어왔고, 김제·정읍 등지에서 전문적인 농악을 배워온 사람들을 받아들이면서 전문적인 농악단으로 발전하였다. 꽹과리(3, 4개)·징(2, 3개)·장구(3, 4개)·북(1, 2개)·소고(6, 8개)·호적(1, 2개)·나발(1, 2개) 등의 악기가 쓰이며, 그 편성은 먼저 영기(令旗)가 있고 대포수·호적수·쇠잡이(상쇠·부쇠·종쇠·끝쇠)· 징(수징·부징)·장구(수장구·부장구·종장구·끝장구)·북(수북·부북)·법고(수법고·종법고·부법고·끝법고)· 창부·조리중·무동·양반 등으로 되어 있다. 쇠가락에는 일채·이채·삼채·외마치질굿·풍류굿·오채질굿·좌질굿·양산도가락·호호굿·오방진가락 등이 있다. 이..

동영상 2020.05.14

[동영상 중계]대통령상 수상 문화재 시리즈(4)제1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고성오광대'

기획. 취재. 촬영. 편집:문화재사랑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 고성오광대 문둥북춤, 오광대놀이, 비비춤, 승무춤, 제밀주춤의 5마당으로 구성된 고성오광대는 문둥이를 비롯해 총 19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제1과장에서 문둥광대가 대사 없이 북춤으로만 한을 표출하고 퇴장하면 제2과장은 말..

동영상 2020.05.06

[동영상 중계:부처님 오신 날]목소리로 공양을 드리는 범패와 몸 동작으로 공양을 드리는 작법무

취재. 촬영. 편집:문화재사랑 범패와 작법무(인천무형문화재 제10-나호) 범패의식은 범패(梵唄)와 범무(梵舞)로 나눈다. 범무는 작법무라고도 하는데, 사설과 진언 등에 맞추어 소품을 들고 의상을 갖춰 입고 추는 춤을 말한다. 범패(梵唄)가 성음 즉, 목소리로 불전에 공양드리는 것이라면..

동영상 2020.04.29

[동영상 중계]대통령상 수상 무형문화재시리즈(3)제2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봉산탈춤

기획. 취재. 촬영. 편집. 내레이션:문화재사랑 봉산탈춤&lt;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gt; 황해도 전역에서 전해져 온 해서탈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탈춤. 한국전쟁 이후 연희자들이 월남하자 서울에서 전수되기 시작했다. 사상좌춤·팔목중춤·사당춤·노장춤·사자춤·양반춤·미얄..

동영상 2020.04.18

[동영상 중계]대통령상 수상 문화재시리즈(2) 제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하회별신굿탈놀이

취재. 촬영. 편집. 내레이션:문화재사랑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하회 별신(河回別神)굿 탈놀이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경상북도 안동 하회 마을에서 약 800년 전부터 동민들의 무병과 안녕을 위해 마을의 서낭신에게 제사 지낸 동제로, 국가 무형 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다. 도시형 탈..

동영상 202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