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문화재방송.한국 www.tntv.kr

문화유산 답사기 310

[한글날 특집 화보]국립한글박물관 개관 1주년, "한글의 멋을 알리다!"

10월 9일 한글날, 서울시 용산구에 '국립한글박물관'이 개관 1주년을 맞아요. 한글의 역사와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한 박물관인데요, 한국인은 물론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에게도 참 좋은 놀이터가 될 것 같네요.^^ 박물관에서 어떤 내용들을 볼 수 있는지 미리 구경해 볼까요? ▲ 국립한..

[개천절 유감]문화재 한 점 없는 개국시조 단군 성전, 문화재 가득한 중국 장수 관우 사당

선현의 표준 영정 -단군 영정(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영정) 일연스님 일연스님이 <삼국유사>에 단군신화를 싣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건국 신화도 없는 민족이 될 뻔했다. 일연스님은 단군신화를 <삼국유사>의 첫머리에 올림으로써 민족의 역사성을 강조했다. 일연스님은 청도 운문..

[문화유산 답사기]현충사. 외암마을이 있는 아산시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9. 전철로 가능한 문화탐방 - 아산 서해로 아산만을 끼고 있어 농촌과 어촌의 모습을 모두 간직하고 있는 아산은 최근 고속철도의 유입으로 발전하고 있는 도시이다. 이순신 장군의 사당인 현충사가 있는 곳으로 유명하며 고려말 조선초의 문관인 맹사성의 고택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

[문화유산 답사기]'한반도의 중앙' 충주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아래 글 중 일부 내용(전화번호 등)이 변경됐을 수도 있습니다> 8. 한반도의 중앙 - 충주 충주는 마한의 일부로 백제, 고구려를 거쳐 신라에 속하게 되는 만큼 치열한 영토 쟁탈전이 벌어진 곳이다. 신라 진흥왕 때 전략상 요지로 삼아 국원소경으로 개칭하여 아시촌소경(함안), 하슬라..

[문화유산 답사기]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백범 김구 선생의 숨결 어린 경교장(사적 제465호)

사적 제465호(2005. 6. 13 지정). 2001년 서울시 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2005년 사적으로 승격되었다. 건축면적 396.69㎡, 연면적 945.45㎡. 이화장(梨花莊)·삼청장(三淸莊)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위한 활동 3대 명소의 하나로 불린다. 광산업을 하던 최창학 소유의 별장으로1938년 완공 당시..

[문화유산 답사기]'쓰라린 분단의 흔적' 철원과 강릉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6. 쓰라린 분단의 흔적 - 철원 1936년 철원 인구 2만5천명(경성 70만명)으로 강원도에서 제일 먼저 상수도가 설치되는 등 교통 중심지로 번화하여 도청 이전을 고려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북이 분단되어 철원 전 지역이 공산치하에 들어가기도 했..

[문화유산 답사기]경기도 여주와 인천 강화도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4. 조용히 흐르는 여강 - 여주 여주에는 예로부터 여주팔경이라 하여 아름다운 경치 여덟가지를 들고 있다. 신륵사에 울려 퍼지는 저녁 종소리, 마암앞 강가에 고기잡이배의 등불 밝히는 풍경, 강건너 학동에 저녁밥 짓는 연기, 강 여울에 돛단배 귀가하는 모습, 양섬에 기러기떼 내리는 ..

[문화유산 답사기]서울 송파구와 경기도 고양시의 문화재 찾아 떠나는 자전거 여행

2. 한성백제를 찾아 - 서울 송파구 서울 송파구는 백제가 건국된 때부터 웅진으로 천도하기 전인 한성백제시대의 수도로 추정되고 있다. 이 때의 문화유적인 풍납토성, 고분군 등이 남아 있어 당시의 찬란한 문화를 조금이나마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청나라와의 전쟁에 패배..

[문화유산 답사기] 세계무형문화유산 판소리 들으며 판소리 유적 기행<2>

- 남원 아영면 성리 흥보마을 흥부는 어떻게 복을 쌓았을까 “돌아섰다 돌아보면 도로 하나 가득허고 돌아섰다 돌아보면 돈과 쌀이 도로 가뜩”. 판소리 &lt;흥보가&gt; 중 ‘쌀과 돈이 많이 나온다’ 대목. “이 대목을 헐 때는 팔을 딱 걷어올리고 들어 부어내는디, 영락없이 궤 속에서 돈..

[문화유산 답사기] 세계무형문화유산 판소리 들으며 판소리 유적 기행<1>

- 고창 신재효 고택과 판소리박물관 구전심수(口傳心授)의 깊은 멋 그의 문하에서‘끄슬려갖고’나와야 어전(御前) 명창이 된다 하였다. 동리(桐里) 신재효(1812~1884). 현재 이어지는 판소리 마당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던 판소리 사설을 적벽가, 춘향가, 심청가, 토별가(수궁가), 박타령(..

[아, 6.25 ! 조국은 소년병을 잊었는가?] 홀대 받는 6.25전쟁 참전 미성년 학생들

&lt;아래 내용은 운영자가 기획, 취재, 촬영, 편집한 30분 짜리 다큐멘터리 '6.25전쟁 참전 미성년 학생 홀대'로서 2014년 6월월 27일 오후 1시 KBS 1 TV '열린채널'에서 방송되었습니다&gt; 동영상 보기 http://www.tntv.kr/을 클릭하시면 VJ 金鐘文_______________About Us가 보입니다. 서울에 나타난 북한군 탱..

[의병의날 특집]왜병이 두려워 하던 의병장 김덕령 장군, 분하다, 조정 권신이 때려 죽여

김덕령 장군 초상화(전쟁기념관 소장). 1567년(선조 즉위) 광주(光州)에서 태어난 김덕령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인 김덕홍과 함께 고경명(高敬命)의 막하에서 의병을 일으켰지만 전주에 이르렀을 때 어머니를 봉양하라는 형의 권고에 따라 귀향하였다. 1593년 다시 의병을 일으켜 ..

[의병의 날 특집]한민족 최초의 의병 대첩 '처인성전투', 세계 최강국 몽고 총사령관 사살

※ 의병의 날(6.1) :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장군이 최초 의병을 일으킨 날 (음력 4월 22일)을 양력으로 환산 하여 ‘호국보훈의 달’ 첫째 날인 6월 1일을 의병의 날 기념일로 제정(대통령령 제22168호).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에게 자신감을 심어 준 것은 처인성전투의 승전보였습니다. '의병의..